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파트 생활기사의 주거담론분석- 1960∼80년대 일간지와 여성지 기사를 중심으로 -An Analytical Research of Mass Media's Articles about Korean Apartments’ Living - Focused on the Articles of Newspapers and Women's Magazines Between 1960∼80's -

Other Titles
An Analytical Research of Mass Media's Articles about Korean Apartments’ Living - Focused on the Articles of Newspapers and Women's Magazines Between 1960∼80's -
Authors
김혜숙서정연
Issue Date
Apr-2014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Apartment; Newspaper; Magazine; Living; Discourse; 아파트; 신문; 여성지; 주거; 담론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3, no.2, pp.136 - 146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3
Number
2
Start Page
136
End Page
14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0458
ISSN
1229-7992
Abstract
아파트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거 형식으로 정착되어 2010년 전국 주택의 58.4%를 차지되었다. 우리나라 아파트는 밀도와 관계없는 농어촌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특징을 지닌다. 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의 급격한 확산은 한정된 주택난 해결을 위한 불가결한 선택과 정부 정책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가 도입되고 일반화되는 1960∼80년대 신문과 여성지의 아파트생활 기사를 조사하였고, 아파트생활기사의 주거담론적 특성과 변천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아파트생활 담론은 재래주택과의 비교에 기반하고 아파트 일반화는 여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아파트의 급속한 확산은 아파트 생활에서 체험되는 이점이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회 및 주거 요구에 부합했기 때문에 이루어졌다. 아파트 일반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가사효율에서 경험되는 편리이며, 현대적 설비 및 기기로 실현되었다. 아파트의 가사효율은 가사의 합리적 수행뿐만 아니라 주부들의 도시적 외부활동과 관련된다. 아파트는 효율과 프라이버시라는 만족과 이웃단절, 소외라는 정서적 문제를 동시에 일으킨다. 우리나라 아파트 일반화의 다각적 접근을 위해 본 연구는 아파트생활 기사를 통해 드러나는 아파트생활 담론이 아파트 일반화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에 초점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h, Jeong Yeon photo

Suh, Jeong Yeon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