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The Establishment of Early Silla Style Pottery

Other Titles
The Establishment of Early Silla Style Pottery
Authors
최병현
Issue Date
Apr-2013
Publisher
중부고고학회
Keywords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Early Silla style pottery; Mounted cup with cylindrical pedestal foot; Mounted cup with trumpet-shaped pedestal foot; Long-necked jar; 신라 조기양식토기; 신라 전기양식토기; 통형고배; 나팔각고배; 장경호
Citation
고고학, v.12, no.1, pp.5 - 58
Journal Title
고고학
Volume
12
Number
1
Start Page
5
End Page
5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1667
ISSN
1598-9852
Abstract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경주지역에서 신라 조기양식토기에 이어 서기 4세기 중엽에 성립되었다. 신라 전기양식토기 고배는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신라조기의 통형고배와 나팔각고배의 기형을 계승하면서 대각이 길어지고, 길어진 대각에 투창을 뚫으면서 성립되었다. 장경호는 신라조기의 짧은 경부 중간에 돌대가 있는 구형호들의 경부가 길어지면서 성립되었다.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기, 즉 1기는 통형과 나팔형의 4단각 고배가 공존한 4세기 중엽의 1A기와, 통형고배가 사실상 소멸되고 나팔형 3단각 고배와 함께 새로 발생한 직선형 2단각 고배가 존재한 4세기 후엽의 1B기로 구분된다. 1A기 경주에는 통형고배와 함께 화염형투창 고배도 존재하였는데, 경주 화산리 요지의 예로 보아 이들은 경주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분명하다. 신라 전기양식토기 1기의 고배는 빠른 형식의 변화를 보여 1A기에 2소기, 1B기에 3소기의 형식이 구분되는데 비해, 장경호는 그 변화가 느려 1Aa기부터 1Ba기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그 뒤에야 경부의 직선화, 대각의 채용 등 형식의 변화가 뒤따랐다. 이로 보아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기종에 따라 변화 속도와 주 변화 시기가 달랐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라 전기양식토기와 가야토기의 고배는 공동 조형에서 발전한 것이었으나 1A기부터 기형상의 차이를 보이다가 1B기부터는 교차투창 고배로 대표되는 낙동강 이동양식과 일렬투창 고배로 대표되는 이서양식으로 지역권이 완전히 분립되었다. 한편, 신라 전기양식토기 성립기의 연대는 연륜연대를 가진 일본 고분시대의 須惠器,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을 비롯하여 한반도 중부 이북지방의 마구와 교차편년하여 설정하였다. 서기 400년 광개토대왕의 남정에 의한 김해 대성동고분군 축조중단과 금관가야 세력의 일본열도 이주설, 馮素弗墓 등자에 의한 한·일 등자의 415년 상한설, 경주 황남대총의 눌지왕릉설은 이제 일부 연구자들에게 자유로운 학문적 사고를 가로막는 고정관념이 되고 있다. 명확한 고고학적 자료나 근거에 의한 것도 아니고 역사적 정황이나 이를 확대해석한 주장에 불과한 그와 같은 고정관념은 고고학자료와 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동북아시아 고고학자료의 편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뿐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