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소리의 물리적 새김-매체의 물질적 매개성과 비주얼 뮤직 형식의 관계-Physical Inscription of Soundby-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Mediacy of Medium and Form of Visual Mu

Other Titles
Physical Inscription of Soundby-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Mediacy of Medium and Form of Visual Mu
Authors
오준호김수철
Issue Date
Aug-2013
Publisher
한국기초조형학회
Keywords
Inscription; Materiality; Visual Music; Media Archaeology; 새김; 물질성; 비주얼 뮤직; 미디어 고고학
Citation
기초조형학연구, v.14, no.4, pp.397 - 407
Journal Title
기초조형학연구
Volume
14
Number
4
Start Page
397
End Page
407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1795
ISSN
1598-8635
Abstract
본 논문은 매체의 물질적 매개성과 예술 형식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전반부에서는 올드미디어인 축음기, 필름, 아날로그 비디오 각각의 시지각 정보의 합성 방식을 분석하고 이에 수반되는 물질적 특성이 예술 형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후반부에서는 디지털 미디어의 언어적 매개가 갖는 특성을 분석하고 이 특성이 형식의 임의성 문제를 야기함을 밝힌다. 그리고 최근에 디지털 정보를 물질로 구현하는 새로운 흐름이 형식의 임의성에 제한을 가하기 위해서 매개의 물질적 특성을 회복하려는 것임을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연구의 대상을 비주얼 뮤직(Visual Music)으로 제한한다. 비주얼 뮤직은 일반적으로 예술가가 이미지와 소리의 관계를 유비적으로 해석하거나 미디어 기술을 통해서 시청각 정보를 상호변환하는 작업들을 총칭한다. 비주얼 뮤직 장르에서 작가들은 미디어 기술을 통해 시각과 청각의 상호변환을 실험하기 때문에 개별 미디어 기술의 물질적 특성이 예술 형식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과학적, 기술적 혁신이 문화적 지형을 어떻게 바꾸었는지를 연구하는 미디어 고고학 연구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축음기, 필름, 아날로그 비디오, 디지털 각각의 매개의 물질적 특성을 분석하고 비주얼 뮤직의 형식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비주얼 뮤직은 시청각적 정보의 상호변환을 통해 예외 상태를 만들고 순수한 매개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에서 물질화는 새로운 매체적 조건에서 매개성을 가시화하는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 Global School of Media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