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음 간 ㄱ 약화・탈락에 대하여-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소신애-
dc.date.available2018-05-10T02:31:55Z-
dc.date.created2018-04-17-
dc.date.issued2013-12-
dc.identifier.issn1738-8686-
dc.identifier.uri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1862-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모음 간 ㄱ 약화․탈락’ 현상의 동인과 기제 및 그 진행 과정에 대해 논의한다. 음변화가 비교적 긴 시간폭을 두고 지역에 따라, 화자에 따라, 어휘에 따라 점진적으로 확산된다는 관점에서 보면, 국어의 ㄱ 약화․탈락 현상 또한 오랜 기간 동안 각 방언에서 점진적으로 진행되어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중세 및 근대 문헌상 ㄱ을 지닌 어사가 현대 방언에 ㄱ 약화형 혹은 ㄱ 탈락형으로 반사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하며, 일상적인 발화 내에서 동일 화자가 수의적으로 ㄱ 약화․탈락을 보여 주는 경우 또한 관찰되기 때문이다. 논의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방언과 경남 방언에는 ‘모음 간 ㄱ 약화․탈락’과 연관된 공시적 변이가 존재한다. 둘째, 이 변화의 조건 환경은 ‘유성음 사이’이다. 셋째, 변화의 동인은 ‘조음 편이의 추구’이며, 변화의 기제는 ‘유성음 간 동화’이다. 여기에는 발화 속도와 분절음의 길이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ㄱ 약화․탈락의 변화 대상은 기원적인 */g/나 */γ/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원적인 */k/도 약화․탈락을 경험할 수 있다. 다섯째, 통시적 변화로서의 ㄱ 약화․탈락은 음성적으로나 어휘적으로나 점진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며, 그 중간 과정에서 공시적 변이를 보인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한국방언학회-
dc.relation.isPartOf방언학-
dc.subjectㄱ 약화-
dc.subjectㄱ 탈락-
dc.subject방언 구술 발화-
dc.subject공시적 변이-
dc.subject통시적 변화-
dc.subject점진적 어휘 확산-
dc.subjectk/-lenition-
dc.subject/k/-deletion-
dc.subjectcasual speech of dialects-
dc.subjectsynchronic variation-
dc.subjectdiachronic change-
dc.subjectgradual lexical diffusion-
dc.title모음 간 ㄱ 약화・탈락에 대하여- 방언 구술 발화 자료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On the intervocalic lenition and deletion of /k/ in Korean - Focusing on the casual speech data of dialects --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방언학, no.18, pp.107 - 146-
dc.identifier.kciidART001839628-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citation.endPage146-
dc.citation.number18-
dc.citation.startPage107-
dc.citation.title방언학-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소신애-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3962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ㄱ 약화-
dc.subject.keywordAuthorㄱ 탈락-
dc.subject.keywordAuthor방언 구술 발화-
dc.subject.keywordAuthor공시적 변이-
dc.subject.keywordAuthor통시적 변화-
dc.subject.keywordAuthor점진적 어휘 확산-
dc.subject.keywordAuthork/-lenition-
dc.subject.keywordAuthor/k/-deletion-
dc.subject.keywordAuthorcasual speech of dialects-
dc.subject.keywordAuthorsynchronic variation-
dc.subject.keywordAuthordiachronic change-
dc.subject.keywordAuthorgradual lexical diffusion-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