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鳳來儀」 악장 연구(1) − 樂舞 명칭의 典據와 악장 내용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Bong'rae'eui Akjang

Other Titles
A Study on Bong'rae'eui Akjang
Authors
조규익
Issue Date
Apr-2012
Publisher
온지학회
Keywords
Bong' rae' eui; Yeominrak; Chihwapyeong; Chwipunghyeong; the Book of Changes; the Shoo-king; Sejong the Great.; 봉래의; 여민락; 치화평; 취풍형; 주역; 서경; 세종대왕.; Bong' rae' eui; Yeominrak; Chihwapyeong; Chwipunghyeong; the Book of Changes; the Shoo-king; Sejong the Great.
Citation
온지논총, no.31, pp.117 - 148
Journal Title
온지논총
Number
31
Start Page
117
End Page
14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2884
ISSN
1598-1444
Abstract
‘鳳來儀’는 <書> 「益稷」으로부터 나온 말로서 태평성대를 찬양하는 노래를 지어 ‘鳳(凰)來儀’라는 명칭을 붙이게 된 데서 유래했다. <주역> 「下經」 ‘澤山咸’괘에 대한 정자의 설명에 등장하는 ‘치화평’은 天地와 人心의 감통에 바탕을 둔 조화가 천하태평의 요체임을 보여주는 개념의 말이며, 구세력인 고려를 대신하여 새로운 치자로 등장한 이성계와 백성들이 感應과 亨通을 바탕으로 화평한 시대를 열게 되었다는 것, 즉 致和平을 이루게 되었다는 것이 그 핵심적 내용이다. <시> 「주송」 <執競>의 13구 ‘旣醉旣飽’와 <易> 「下經」 ‘雷火豐’ 괘에서 나온 ‘풍형’의 결합이 바로 ‘취풍형’으로서 군신이 태평세월을 구가하고 즐기면서도 예에 어그러지지 않는 절도를 지켜야 하며, 아무리 풍요로워도 그에 지나치게 도취하여 절제를 잃어버리면 안 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봉래의에 속하는 세 정재의 주제들[여민락: 백성들과 즐거움을 함께 하면서도 경천근민해야 함 / 치화평: 上下 間 感應⋅亨通하면서도 경천근민해야 함 / 취풍형: 군신이 배불리 취해도 예에 어그러짐 없고 풍형에도 절제가 있어야 하며 경천근민해야 함]은 서로 독자적이면서도 ‘경천근민’이란 행동강령을 공유한다. 말하자면 즐거움을 백성들과 함께 하거나, 신하들과 함께 하며, 백성⋅신하와 함께 해도 공통적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후왕들이 ‘경천근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민락 악장은 백성들을 상대로 한 언술이고, 치화평 악장은 백성과 신하들 모두를 상대로 한 언술이며, 취풍형은 신하들을 상대로 한 언술이다. 따라서 이것들을 종합한 봉래의 악장에는 신하들과 백성들을 상대로 조선왕조 건국의 의의와 육조의 시련을 깨우쳐 주고, 후왕들이 나라를 잘 保守함으로써 왕조가 영속될 수 있도록 하라는 세종의 뜻이 담겨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