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활사업의 사회적 배제 감소효과The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n Reducing Social Exclusion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n Reducing Social Exclusion
Authors
이상은전세나
Issue Date
Sep-2012
Publisher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eywords
Human Development Index; 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 Social Exclusion; Self-sufficiency program; 인간개발지수; 다차원빈곤지수; 사회적 배제; 자활사업
Citation
사회복지연구, v.43, no.3, pp.151 - 179
Journal Title
사회복지연구
Volume
43
Number
3
Start Page
151
End Page
17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3173
DOI
10.16999/kasws.2012.43.3.151
ISSN
1598-3854
Abstract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 전과 후의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감소효과를 추정하였다. 사회적 배제의 상태를 소득, 고용, 주거, 건강, 사회적 관계의 다섯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고, HDI(Human Development Index)의 방법과 Alkire and Foster의 다차원빈곤지수(Multidimensional Poverty Index)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HDI 지수와 Alkire and Foster 지수들 모두에서 자활사업 참여 전에 비해 참여 후에 사회적 배제 정도가 감소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Alkire and Foster 지수들의 경우 사회적 배제 감소효과는 M2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 다음 M1, M0 지수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활사업이 특히 그 정도가 심각한 사회적 배제의 문제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하위집단별로는 시장진입형, 여성, 그리고 40대 미만의 참여자들에서 사회적 배제 감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ang Eun photo

Lee, Sang Eun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