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의 매개효과The Effects of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on Brand Loyalty: The Mediating Role of Brand Attitude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ctual and Ideal Self-Congruence on Brand Loyalty: The Mediating Role of Brand Attitude and Emotional Brand Attachment
Authors
유순근김근배
Issue Date
Aug-2012
Publisher
한국기업경영학회
Keywords
실제적 자아; 이상적 자아; 자아일치성; 브랜드 애착; 브랜드 태도; 브랜드 충성도; Actual Self; Ideal Self; Self-congruence; Emotional Attachment; Brand Attitude; Brand Loyalty
Citation
기업경영연구, v.19, no.4, pp.283 - 303
Journal Title
기업경영연구
Volume
19
Number
4
Start Page
283
End Page
30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3194
ISSN
1229-957X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의 매개작용,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성, 그리고 기능적 일치성의 수준에 따른 차이를 밝혀냈다. 연구결과 실제적 자아일치성이나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강한 긍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자아와 일치하는 브랜드일수록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크다. 실제적 자아일치성이나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브랜드 태도는 부분매개로 작용하나, 정서적 브랜드 애착은 완전매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 크기는 이상적 자아일치성이 실제적 자아일치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나, 정서적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태도 관계에서 기능적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표적 소비자의 실제적 또는 이상적 자아개념과 일치하는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태도와 정서적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이상적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는 정서적 브랜드 애착이 완전매개로 작용한다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Keun Bae photo

Kim, Keun Ba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