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Impact of Bilingualㆍ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Other Titles
Impact of Bilingualㆍ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Authors
박현선이채원노연희이상균
Issue Date
Mar-2012
Publisher
한국사회복지연구회
Keywords
multicultural family; bilingual; bicultural environment; 다문화가정; 이중 언어․이중 문화 환경
Citation
사회복지연구, v.43, no.1, pp.365 - 388
Journal Title
사회복지연구
Volume
43
Number
1
Start Page
365
End Page
38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3244
DOI
10.16999/kasws.2012.43.1.365
ISSN
1598-3854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이중언어문화 노출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참여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459명과 그들의 초등학교 5-6학년 자녀 459명을 쌍체수집한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2011) 자료를 원자료로 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가 원활하고, 자녀가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보다 많이 노출되었을 때 어머니의 양육참여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지원서비스가 단순히 취업이나 한국사회 적응에서 필요한 기술일 뿐 아니라 양육참여에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중언어․문화환경이 더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적응에 위험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발달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원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hee, Chaie   Won photo

Rhee, Chaie Won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