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알콜문제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의 가족치료 사례연구A Case Study on the Family Therapy for Couple Conflict due to Alcoholic Problem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Family Therapy for Couple Conflict due to Alcoholic Problem
Authors
박태영박진영
Issue Date
Sep-2011
Publisher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Keywords
Alcoholic problem; case study; MRI interactional model Bowen' s family systems; 알콜중독; 사례연구;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 모델; Bowen의 가족체계 이론
Citation
한국가족복지학, no.33, pp.95 - 129
Journal Title
한국가족복지학
Number
33
Start Page
95
End Page
12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4302
DOI
10.16975/kjfsw.2011..33.004
ISSN
1598-6403
Abstract
본 연구는 알콜중독 문제를 가진 남편과 그 가족을 돕기 위한 가족치료 모델로서 MRI의 상호작용적 가족치료 모델과 Bowen의 가족체계 이론의 효과성을 보고자 하였다. 또한 알콜중독의 원인을 가족체계라는 맥락에서 이해하여 가족구성원들이 유지해왔던 시도된 해결책을 인식한 후 이를 탈피할 수 있는 새로운 대처 방식을 시도하고 유지함으로써 가족의 문제를 해결한 두 모델의 원리와 개념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Miles와 Huberman이 개발한 시간에 따른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사건 흐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분석에서 발견된 개념들을 도식화하였다. 분석결과로서, 부부갈등의 주원인은 술, 미분화, 역기능적 대처방식이라는 3가지 범주가 도출되었고 부부갈등과 관련된 부부의 원가족 특성은 크게 남편의 원가족 특성과 부인의 원가족 특성으로 나눌 수 있었다. 남편의 경우 음주, 폭언, 폭력에 대한 다세대 전수가 있었으며 부인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신체적, 언어적 학대 뿐 아니라 성폭력의 경험으로 인한 낮은 자존감과 피해의식이라는 심리적 특성이 남편과의 상호작용을 왜곡시키는 준거틀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가족치료의 결과로는 대화방식의 변화, 음주량의 감소, 인식의 변화, 역기능적 대처방식에 대한 비효과성 인식이라는 4가지 범주가 도출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Tai Young photo

Park, Tai Yo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