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人間指稱漢字接尾辭에 관한 日·韓·中 대조연구人間指稱漢字接尾辞に関する日·韓·中対照研究

Other Titles
人間指稱漢字接尾辞に関する日·韓·中対照研究
Authors
오미영박옥화
Issue Date
Sep-2011
Publisher
한국일본어학회
Keywords
派生語; 接辭; 接尾辭; 漢字接尾辭; 人間指稱漢字接尾辭; 対照硏究; 파생어; 접사; 접미사; 한자접미사; 인간지칭한자접미사; 대조연구
Citation
일본어학연구, no.31, pp.215 - 230
Journal Title
일본어학연구
Number
31
Start Page
215
End Page
23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4348
ISSN
1229-7275
Abstract
본고는 현대 일본어, 한국어, 중국어에 나타나는 인간지칭한자접미사에 대해 대조·고찰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어문을 대상으로 하여 일본어 21종류, 한국어 22종류, 중국어 30종류의 인간지칭한자접미사를 추출하였다. 이 중 세 언어에서 모두에서 사용되는 것은 「師・士・家・者・客」을 포함한 17종류인데, 이를 통해 세 언어에는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인간지칭한자접미사가 많으며, 특히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함께 사용되는 것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 중 「師・士」의 경우 일본어와 한국어는 두 접미사 사이의 의미 차이가 거의 없지만, 중국어에서는 「師」 쪽이 전문적 지식 및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어 및 한국어와 중국어 사이에는 동일한 의미의 단어에 대해 「師・士」가 반대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家・者」는 세 언어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나, 「家」의 경우는 중국어에서만 확인되는 용법도 있다. 「客」은 중국어에서 새로운 인터넷 용어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용례가 다수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세 언어에서 모두 사용되는 접미사라도 언어적 유사성이 높은 일본어와 한국어는 의미나 용법면에서 유사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비해, 중국어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두 언어에서 사용되는 접미사 중, 일본어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狂・婦」의 2종류이며, 의미면에서도 두 언어에서 동일하다. 일본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匠」 1종류이다. 한국어에서는 「匠」이 아니라 「匠+이」의 형태로 사용되어 왔다.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용되는 것은 「哥・盲」 2종류가 있었다. 「盲」은 두 언어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哥」는 어떤 성씨를 가진 사람이라는 의미 외에, 중국어에서는 어떤 특징을 지닌 젊은 남성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 언어에서 사용되는 것 중, 일본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役」 1종류, 한국어는 「癡」 1종류인데 비해, 중국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爷・弟・嫂・姐・妹」를 포함하여 10종류가 있으며, 친족호칭어에서 발달한 것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 역시 중국어가 일본어나 한국어와는 접미사 운용에 있어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Oh, Mi young photo

Oh, Mi you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