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비용처리 연구개발비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내생적 성장이론을 중심으로-A Research on the Value Relevance of R&D Expenses -The Emphasis on Endogenous Growth Theory-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Value Relevance of R&D Expenses -The Emphasis on Endogenous Growth Theory-
Authors
노희천전영준
Issue Date
Mar-2011
Publisher
한국세무학회
Keywords
firm value; the capitalization of R& D expenses; Endogenous Growth Theory. high-tech industry; Granger causality test; 기업가치; 비용처리 연구개발비의 자산화; 내생적 성장이론; 첨단산업; 그랜저 인과관계
Citation
세무와회계저널, v.12, no.1, pp.9 - 43
Journal Title
세무와회계저널
Volume
12
Number
1
Start Page
9
End Page
4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4379
ISSN
1738-3323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혁신을 통한 성장을 강조하는 Romer(1986, 1990)의 내생적 성장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을 중심으로 연구개발비 지출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기업가치(주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또한 비용으로 처리된 연구비와 경상개발비를 자산화 하는 경우 추가적인 기업가치 설명력(수정R^2값)의 증가에 있어서 첨단산업과 비첨단산업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생적 성장이론에 언급된 기술혁신과 성장 사이의 순환관계인 연구개발투자가 유형자산투자를 유발하고, 유형자산투자가 다시 매출액의 증가로 이어지는 인과성(causality)의 존재를 분석한 그랜저 인과관계검정(Granger causality test) 결과, 기술혁신이 활발한 첨단산업에서 순환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비용으로 처리된 연구비와 경상개발비의 기업가치(주가) 관련성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자산화 하는 경우 비첨단산업에 비해 기술혁신이 활발한 첨단산업에서 추가적인 기업가치 설명력(수정R^2값)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비용으로 처리된 연구비와 경상개발비를 자산화 하는 경우 유형자산투자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평균 미만인 기업에 비해 평균 이상인 기업에서 추가적인 기업가치 설명력(수정R^2값)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생적 성장이론에 언급된 기술혁신과 성장 간의 순환관계를 통해 연구개발비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유형자산투자 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중이 평균 이상인 경우 기술혁신이 활발한 첨단산업에서와 동일한 특성이 존재한다는 결과를 통해 연구개발비의 자산화를 주장하는 선행연구에 추가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Department of Account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oh, Hee chun photo

Roh, Hee chun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of Accoun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