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80년대 실험연극의 담론 연구 : 마당극의 연극적 양식화 및 서사극 수용을 중심으로A Study of Discourses of Korean Experimental Theater in the 1980s

Other Titles
A Study of Discourses of Korean Experimental Theater in the 1980s
Authors
백로라
Issue Date
Dec-2011
Publisher
민족문학사학회
Keywords
80년대 실험연극; 마당극의 연극적 양식화; 서사극의 수용; 소외효과; 연우무대; 혼종적 양식; 연극성; 대중성; Korean experimental theater in the 1980s; Madang-theater. Epic theater; identity of Korean theater; aesthetic forms; the spirit of the times; public’s consciousness; the popularity and sociality of theater
Citation
민족문학사연구, no.47, pp.255 - 288
Journal Title
민족문학사연구
Number
47
Start Page
255
End Page
28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4387
ISSN
1227-0962
Abstract
본 연구는 70년대로부터 출발한 한국 실험연극이 80년대에 이르러 대중적 기반을 확보하면서 토착화의 단계에 접어들기 시작했다고 전제하고, 70년대와 90년대 이후의 연극을 매개하는 80년대 실험연극의 미학적 전통과 그 연극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보다 체계적이고도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해, 70년대 실험극의 미적 원리를 발전적으로 계승하면서 90년대 이후 실험극의 흐름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80년대의 주요한 움직임 중에서도 특히 ‘마당극’의 양식 실험과 ‘서사극’의 수용방식에 관해 논의를 집중하였다. 마당극은 70년대 실험극의 연극적 지향성을 계승하여 한국의 전통미학을 현대적인 양식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면, 서사극은 서구의 실험적인 연극 양식을 한국적 토양에 맞추어 선택적 혹은 절충적인 방식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변별된다. 그러나 서로 다른 양식적 기원과 연극적 지향성을 가지고 출발하였음에도, 마당극과 서사극은 새로운 양식을 실험하는 과정에서 ‘한국 연극의 정체성’, ‘대중성’, ‘현대성’ 등을 강하게 의식하였다는 점에서 공유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80년대 마당극의 양식 실험과 서사극의 수용 과정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그 연극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ek, Ro ra photo

Paek, Ro ra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