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Authors
한석환
Issue Date
2010
Publisher
대동철학회
Keywords
‘is(하는 것)’; 실체; 제일철학; 존재(론); 한국어.; Being; First Philosophy; the Korean Language; Ontology; Substance.
Citation
대동철학, no.52, pp.117 - 138
Journal Title
대동철학
Number
52
Start Page
117
End Page
13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5264
ISSN
1229-0750
Abstract
이 글의 목표는 ‘존재론’이라는 표제 아래 진행되는 철학적 논구를 근본적으로 되짚어보는 것이다. 이른바 ‘존재론’ 논의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작업이냐는 것이 이 글의 주된 물음이다. 다소 도발적인 이 물음에 이 글의 대답은 부정적이다. 그렇다고 해서 존재론의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느냐 하면 그렇지는 않다. 일정한 조건하에 가능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한국어로 진행되는 ‘존재론’ 논의가 유의미한 철학적 작업일 수 없는 이유는 대체로 이렇다: 서구어로 된 서술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어는 ‘be (그리스어 einai)’ 동사인데, 형태상으로는 각 문장에서 동일하지만 그 의미는 동일하지 않다. ‘존재론’은 바로 그 다의성을 탐구하는 철학의 분과이기에 언어와 무관하게 진행될 수 없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be 동사 역할을 하는 문장 구성요소가 없다. 따라서 한국어에는 의미론적으로 ‘존재’ 문제를 일으킬만한 소지가 아예 없다. 요컨대 한국어의 논리를 좇아 철학하게 되면 이른바 ‘존재’ 문제 같은 것은 유의미하게 제기되지 않는다. 이 땅에서 한국어로 생산되는 거의 모든 ‘존재론’ 논의는 허공에 떠있는, 뭔가 심오한 것을 다루는 것 같지만 실은 아무것도 다루는 게 없는 가짜 담론, 속 빈 강정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hn, Seok Whan photo

Hahn, Seok Whan
인문대학 (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