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최척전>의 문학지리학적 해석과 소설교육

Authors
권혁래
Issue Date
2009
Publisher
한국국어교육학회
Keywords
Choi Cheok Jeon; literary geography; Jo Wui-han; Hoian(會安); Nagasaki(長岐); Hangchou(杭州); 최척전; 문학지리학; 조위한; 문학공간; 소설교육; 호이안(會安); 나가사키(長岐); 항주(杭州)
Citation
새국어교육, no.81, pp.23 - 44
Journal Title
새국어교육
Number
81
Start Page
23
End Page
44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6369
DOI
10.15734/koed..81.200904.23
ISSN
1226-6736
Abstract
필자는 이 연구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을 문학지리학(literary geography)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소설교육에 활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일본, 중국, 베트남(안남), 해상 이동경로 등의 공간배경을 실제 지역공간과 대조하여 살폈는데, 이를 통하여 소설 창작수법의 매우 미묘한 국면을 알 수 있었다. 조위한은 자신의 체험과 독서경험과 풍문을 바탕으로 아무도 가보지 못한 동아시아 지역을 형상화하였다.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은 사실적인 것 같으면서도, 부정확하고 모호한 정보에 바탕하여, 소략하게 그려지거나 사실과 어긋나게 설정된 점이 적지 않았다. 그리고 옥영이 귀국한 해상 이동경로는 분석 결과, 전적으로 허구임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조위한은 이러한 공간설정 방식을 통하여 ‘가족의 재회’라는 주제를 실현하였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소설교육을 할 수 있다. 첫째, <최척전>에 그려진 동아시아 공간 배경이 된 곳에 대해서 학습자들이 조사해보도록 한다. 둘째 동아시아 공간의 형상화와 주제 실현 간의 관계를 논의한다. 셋째,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최척전>에 그려진 지역 공간이 어떠한 이미지를 남겼는지를 분석한다. 넷째, <최척전>에 발견된 지역 이미지와 동아시아 유대 관계를 현재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논의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Baird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