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open access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about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Other Titles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about conflict between mother and the eldest son
Authors
박태영김태한
Issue Date
Aug-2008
Publisher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Keywords
boundary; dysfunctional communication; family conflict; family therapy; undifferentiated ego; 가족치료; 의사소통; 가족갈등; 자아분화; 경계선; boundary; dysfunctional communication; family conflict; family therapy; undifferentiated ego
Citation
한국가족복지학, no.23, pp.263 - 302
Journal Title
한국가족복지학
Number
23
Start Page
263
End Page
30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6995
DOI
10.16975/kjfsw.2008..23.008
ISSN
1598-6403
Abstract
본 연구는 홀어머니와 성인인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사례로써, 가족관계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자아분화의 문제에 대한 가족치료적 개입방법과 효과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하여 부인(며느리)이 상담을 의뢰하여 시작되었고, 13회기동안 개인 및 가족상담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상담 축어록과 치료자가 기록한 메모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부호화(coding)작업을 통하여 개념과 하위범주, 그리고 상위범주로 나누었다. 또한 코딩작업을 통하여 발견한 범주들을 Miles와 Huberman(1994)이 제시한 관계망(network)와 매트릭스(matrix)를 활용하여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버지가 사망하자 어머니는 큰아들이 가족을 부양해주기를 원하였지만, 큰아들은 어머니의 기대와 달리 결혼을 하여 분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서로의 감춰진 불만이 드러나고 모자갈등이 표면화되었다. 이런 갈등의 저변에는 가족의 경계선문제, 미분화된 자아,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치료자는 모자갈등의 악순환고리를 끊기 위하여 치료적 동맹관계를 형성하였고, 의사소통방식의 지도, 반복되는 패턴의 조명, 재명명, 비유법을 활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어머니와 큰아들은 자아분화, 기능적 의사소통의 활성화, 인식의 변화, 경계선의 변화를 경험하였고, 모자갈등의 소거와 더불어 가족관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책임감과 기대감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홀어머니와 큰아들의 갈등에 대한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유효한 개입방법들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Social Welfa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Tai Young photo

Park, Tai Young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