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구소련 고려인 민요의 전통노래 수용 양상

Authors
조규익
Issue Date
2008
Publisher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Keywords
Korean Folk Ballad; Traditional Song; Acculturation; Tribal Identity; Cultural Territory; Diaspora; the past U.S.S.R.; Korean Folk Ballad; Traditional Song; Acculturation; Tribal Identity; Cultural Territory; Diaspora; the past U.S.S.R.; 고려인 민요; 전통노래; 접변; 민족적 정체성; 문화영토; 디아스포라; 구소련
Citation
동방학, no.14, pp.7 - 36
Journal Title
동방학
Number
14
Start Page
7
End Page
3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17294
ISSN
1598-1452
Abstract
구소련 지역 고려인들의 노래에 수용된 우리나라 전통 노래들의 양상을 분석한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고려인 이민 1세대가 고국에서 익혔거나, 후속세대들이 조부모 혹은 부모에게서 배운 노래의 내용적·형태적 요소들을 현지의 노래들로부터 찾아내고자 한 것이다. 대개 이민자들의 노래들은 고국의 노래들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 요소들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기 마련이다. 그러나 몇 세대가 지나면 대부분의 전통 요소들은 사라지게 된다. 정착지에서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남기 위해 이민자들은 스스로를 그 문화와 제도에 적응시켜야 한다. 원활한 적응을 위해 그들은 자신들의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문화유산을 폐기하거나 재조정하기도 한다. 그런 과정에서 중요한 문화의 한 부분인 그들의 전통 노래들은 현지의 노래들에 의해 부득불 수정될 수밖에 없다. 노래문학의 경우 심각한 변화의 파장을 피할 수 없는 것도 그 때문이다. 구소련 고려인들은 본토에서 극동지역으로의 디아스포라를 겪었고, 그곳으로부터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당하면서 또 한 번의 집단적 디아스포라를 경험했다. 그 과정에서 구체화된 지속과 변이의 양상들이 구소련 고려인들의 노래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 민요 전승의 과정에서 변하지 않는 것들은 희로애락에 관한 보편적 정서다. 그러나 그들이 다른 공동체와 갈등을 겪거나 이질적인 문화로부터 충격을 받을 경우 그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위치를 재조정해야 했다. 정착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라도 그들은 스스로의 문화적 코드를 그곳에 맞추어야 했던 것이다. 우리나라 전통 민요의 리듬, 선율, 사설 그 자체를 이식한 경우도 있고, 그것들을 러시아의 정치적·사회적 현실에 맞추어 다시 만드는 또 다른 경우도 있었다. 전자를 지속으로, 후자를 변이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지속은 한국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이 유지되는 한 변할 수 없는 정서적·형식적 요소이고, 변이는 적응을 위한 실제적 요구에 의해 스스로 재조정할 수밖에 없는 데서 생겨나는 가변적 요소다. 구소련에서 고려인들의 전통노래들의 변이는 문화변동이나 접변으로 설명될 수 있고, 이주와 정착 이후 1세기가 지난 지금에도 그러한 접변은 계속되고 있다. 최근 많은 한국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고려인들의 전통노래의 가치나 문화적 의미를 강조한 덕분에 우리의 전통노래들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갈수록 새로워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지의 노래 문화에 기대어 그들의 기억 속에 있는 노래들을 살려내려는 의지는 그들이 그동안 지녀온 전통노래를 폐기하거나 망각의 늪 속에 던져 버리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우리는 미래지향적으로 고려인들의 전통노래들을 유지·발전시켜야 한다. 우리의 문화영토나 정신영역을 확보한다는 관점에서도 그렇게 하는 것은 우리의 긴급한 과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