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과 광명시에 대한 사례 연구Korean Lifelong Learning Cities toward Community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the Case Study of Kwangmyung City

Other Titles
Korean Lifelong Learning Cities toward Community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the Case Study of Kwangmyung City
Authors
최은수
Issue Date
Nov-2004
Publisher
한국성인교육학회
Keywords
lifelong learning city; community learning; case study of Kwangmyung city; lifelong learning city; community learning; case study of Kwangmyung city; 평생학습도시; 지역사회 학습; 광명시 사례 연구
Citation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v.7, no.4, pp.101 - 126
Journal Title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IJACE)
Volume
7
Number
4
Start Page
101
End Page
12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20139
ISSN
1229-3075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학습과 발전을 위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의 실태와 특성 및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2001년부터 한국 정부는 평생학습도시를 구축하고 지원하는데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평생학습도시 구축 프로젝트는 정부의 법적, 행정적, 및 재정적 지원에 기초하여 실행되었다.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실태 분석 결과, 몇 가지 특징으로서, 첫째,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시작은 지방정부의 선도에 의해 이루어졌다. 둘째, 한국의 첫번째 평생학습도시인 광명시의 경우에서처럼, 평생학습도시는 기존의 평생학습도시의 단순한 복사판이 아니라, 거주와 직장, 그리고 여가와 학습을 연결하는 총체적인 새로운 방법으로 연결하는 산물이었다. 셋째, 평생학습도시 건설에는 중앙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있었다. 넷째, 한국 평생학습도시 건설의 목적 중 하나는 공공기관과 정부 기관간의 파트너 관계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평생학습도시들은 지역사회의 모든 분야를 효과적으로 한데 엮는 데에 공헌하였으며, 지역사회 주민들의 학습 참여에 동기를 부여하고 지원하였다. 이로 인하여 지역 주민들의 학습 참여도는 증진되고 지역사회의 연대감이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론으로서 한국의 평생학습도시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제안들이 제시되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Eun Soo photo

Choi, Eun Soo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