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담화윤리의 언어적 특성 연구― 하버마스의 연대성 개념을 중심으로Features of Language in Habermas's Discourse Ethics

Other Titles
Features of Language in Habermas's Discourse Ethics
Authors
김선욱
Issue Date
Feb-2004
Publisher
대동철학회
Keywords
Habermas; Justice; Solidarity; Discourse Ethics; Formal Pragmatics.; Habermas; Justice; Solidarity; Discourse Ethics; Formal Pragmatics.; 하버마스; 정의; 연대성; 담화윤리; 형식화용론.
Citation
대동철학, no.24, pp.25 - 44
Journal Title
대동철학
Number
24
Start Page
25
End Page
44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20451
ISSN
1229-0750
Abstract
하버마스의 담화윤리는 소통 행위 이론의 핵심인 화용론의 구성에 심각하게 의존하고 있고, 담화윤리가 다른 윤리 이론과 차별화 되는 것은 거기에 전제된 언어 개념의 독특성에 따른 것이다. 하버마스는 담화윤리를 통하여 정의와 연대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으려 한다. 정의와 연대성은 각각 칸트의 옳음(the right) 중심의 윤리적 사고와 좋은(the good) 중심의 윤리적 사고가 중심적으로 추구해 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설명 과정은 불완전하다. 하버마스가 설명하는 양자의 관계는 연대성이란 정의의 이면이라는 주장으로, 이는 연대성이 진정한 연대성이 되기 위해서는 항상 정의에 의해 수반되는 한에서 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차이를 인식하고 서로 다른 개인과 서로 다른 문화간에 대화와 연대성을 가능케 하는 원리로서는 적절히 기능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 이것이 하버마스의 담화윤리의 한계가 그것이다.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 단순한 시대적 유행이라서가 아니라, 개인과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본질적으로 다름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대의 경험을 통해 우리는 차이에 민감한 대화의 원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는 담화윤리에서 적극적인 도움을 기대하기 보다 한나 아렌트나 찰스 테일러에게로 눈길을 돌리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Seon Wook photo

Kim, Seon Wook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Philosoph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