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글로벌 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 학습경험분석Global MOOC's Learning and Analysis of K-MOOC Learning Experience

Other Titles
Global MOOC's Learning and Analysis of K-MOOC Learning Experience
Authors
기영화
Issue Date
Jun-2018
Publisher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Keywords
Online contents; Korean online open lecture; K-MOOC; Global MOOC; Higher education learning experience; 고등교육 패러다임;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 K-MOOC; 글로벌 MOOC; 고등교육 학습경험
Citation
교육문화연구, v.24, no.3, pp.65 - 86
Journal Title
교육문화연구
Volume
24
Number
3
Start Page
65
End Page
8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1589
ISSN
1598-9283
Abstract
본 연구는 글로벌 MOOC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K-MOOC)가 미치는 고등교육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보고 글로벌MOOC의 학습형태와 한국형온라인공개강좌 참여자들의 K-MOOC 학습경험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4차산업혁명은 장소에 기반을 둔 전통적 대학교육 패러다임으로부터 장소와 시간의 제한을 벗어난 온라인콘텐츠를기반으로 대학교육을 언제 어디서나 누구든 접근할 수 있는 평생교육 패러다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모든 이를 위한고등교육이 가능하도록 강좌를 개방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국제적 환경에서 한국형 온라인강좌의확대 및 국제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2016년 K-MOOC 플렛폼을 통한 조사에 응답한 2691명의 학습경험과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K-MOOC 학습특성은 누구나 교육 강좌가 접근할 수 있는 시공간적 제약을 초월하여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을 통제하는 자율학습행태를 보여주었으며 71.6%가 학사학위이상 소지자인 점은 글로벌MOOC 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K-MOOC 학습요구분석은 지적 호기심과 개인적 목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학습과정은1-2시간으로 스스로 진도를 조절하는 점을 선호하였으며, 시간부족과 학습내용의 난이도 혹은 선수학습요건의 제한으로학습을 지속하기 어려우며 66%가 중도포기자로 학습동기와 학습결과활용에 대한 정책적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ee, Young wha photo

Kee, Young wha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