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조선조 雩祀 및 雩祀樂章의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규익-
dc.date.available2019-03-13T01:51:54Z-
dc.date.created2018-10-03-
dc.date.issued2018-03-
dc.identifier.issn0451-0097-
dc.identifier.uri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1888-
dc.description.abstract매년 음력 4월에 거행되던 우사는 조선조 中祀에 속한 국가제사다. 조선조의 우사와 「우사악장」에 등장하는 ‘勾芒ㆍ祝融ㆍ蓐收ㆍ玄冥’은 각각 4계절을 관장하던 신들이고, 后土는 토지를 후직은 곡식을 각각 관장하던 중국 출신의 신들이다. 이들 여섯 명의 신들은 무르익은 중세적 분위기에서 조선 왕조가 성공적으로 ‘자아화’한 존재들이다. 자연의 본질을 순환으로 본 점, 왕이 계절에 맞지 않는 정사를 펼 경우 그 시기에 생장해야 할 농작물이 지장을 받고 결국 재앙이나 전쟁으로 연결된다고 믿은 점 등은 예기 「월령」에 반영된 기본 의식이었고, 그런 의식은 6위 상공들의 직분을 통해 생태적 주제의식으로 「우사악장」에 반영되었다. 그들이 보기에 治者의 德目은 자연 순환의 원리나 우주의 질서 등과 인간의 삶을 정확히 조화ㆍ일치시키는 데 있었다. 인간의 삶과 우주 및 자연 순환의 일치를 평범한 백성들의 자발적 노력이나 물적 자연의 추동력 대신 신의 명령을 받은 왕이 주관해야 한다고 본 것이다. 그 원리나 힘이 바로 이데올로기적 보편주의에 의해 지배되는 ‘중세성’이었고, 거기서 이루어지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가 바로 ‘중세생태주의’였다. 이데올로기의 근원인 최고의 신격(上帝), 상제의 뜻을 바탕으로 생태적 행동강령을 주관하던 여섯 명의 상공들, 그 대리자로서의 왕 등이 位階를 형성한 가운데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이룩함으로써 백성으로 하여금 풍요를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동아시아 중세 왕조들의 이상이었다. 중국의 천자국은 하늘에 비와 풍요를 빌었고, 제후국들은 상공들에게 비와 풍요를 빌었다. 사실 옛날부터 우리나라에서도 하늘에 비를 빌어 왔다. 그러나 조선조 건국 후 유교를 통치 이데올로기로 채용하면서 제사의 명분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중국 천자국이 빌던 똑 같은 대상에게 비와 풍요를 빌 수 없다는 것이 당시 조선조 지배계층의 생각이었다. 그것은 당대 정치․외교의 명분 상 물의를 빚을 수도 있는 일이기 때문이었다. 많은 논의들 끝에 결국 人鬼가 된 여섯 명의 상공들을 제사의 대상으로 정하게 되었으며, 그에 따른 제반 절차도 고려조까지의 것과 달라지게 되었다. 계절의 순환이라는 생태적 질서에 순응하고, ‘천자국 : 제후국’이라는 중세의 정치․외교적 명분과 부합하는 우사의 제도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악장 또한 그에 걸맞게 제정되었다. 말하자면 자연 생태적 조화와 중세 정치․외교적 명분이라는 현실의 조화를 이루는 두 갈래의 방향이 동시에 포괄된 의례가 우사였고, 그 방향들을 언어로 구체화시킨 결과가 「우사악장」이었던 것이다. 인간이 읽어낸 우주ㆍ자연의 질서를 모델로 삼아 생태주의의 중세적 패러다임을 만들었고, 그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만들어진 「월령」은 중세생태주의의 실천 강령이자 텍스트였다. 「우사악장」은 「월령」을 원 텍스트로 하고 다양한 유교 경전 구절들을 차용ㆍ조립한 텍스트로서, 원 텍스트들과의 관계에서 상호텍스트성을 갖는 일종의 파생적 텍스트다. 이념적 상상의 체계와 경험적 분석의 체계가 결합되어 새로운 논리체계가 만들어졌고, 그에 인간의 삶이 맞추어지면서 윤리와 생태적 사고의 합목적성이 개입되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월령」이 만들어졌고, 그 핵심을 추출하여 새롭게 만든 텍스트가 「우사악장」이다. 强固한 중세적 분위기에 힘입어 중국 역대의 인물들 여섯 명이 신으로 좌정할 수 있었고, 그들은 조선조에서 상당 기간 祈雨와 祈豊의 생태적 권능을 행사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정치ㆍ외교적 고려를 바탕으로 ‘제의의 동아시아적 표준이나 보편성을 확보하고자 하던’ 집단적 욕망과 ‘인간과 자연의 연계성’이라는 근본 생태주의가 「우사악장」의 중세생태주의 담론을 형성하던 두 갈래의 핵심 축이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국어국문학회-
dc.relation.isPartOf국어국문학-
dc.subjectUsaAkjang-
dc.subjectWolryung(月令)-
dc.subjectKumang(勾芒)-
dc.subjectChukyung(祝融)-
dc.subjectYoksu(蓐收)-
dc.subjectHyeonmyeong(玄冥)-
dc.subjectHujik(后稷)-
dc.subjectHuto(后土)-
dc.subjectMedieval Ecology-
dc.subject우사악장-
dc.subject월령-
dc.subject구망-
dc.subject축융-
dc.subject욕수-
dc.subject현명-
dc.subject후직-
dc.subject후토-
dc.subject중세생태주의-
dc.title조선조 雩祀 및 雩祀樂章의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
dc.title.alternativeEast Asian Medieval Ecological Discourse in Usa(雩祀) and UsaAkjang(雩祀樂章) of Joseon Dynasty-
dc.typeArticle-
dc.type.rimsART-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어국문학, no.182, pp.139 - 169-
dc.identifier.kciidART002331600-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citation.endPage169-
dc.citation.number182-
dc.citation.startPage139-
dc.citation.title국어국문학-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규익-
dc.identifier.urlhttp://www.dbpia.co.kr/Article/NODE07408488-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UsaAkjang-
dc.subject.keywordAuthorWolryung(月令)-
dc.subject.keywordAuthorKumang(勾芒)-
dc.subject.keywordAuthorChukyung(祝融)-
dc.subject.keywordAuthorYoksu(蓐收)-
dc.subject.keywordAuthorHyeonmyeong(玄冥)-
dc.subject.keywordAuthorHujik(后稷)-
dc.subject.keywordAuthorHuto(后土)-
dc.subject.keywordAuthorMedieval Ecology-
dc.subject.keywordAuthor우사악장-
dc.subject.keywordAuthor월령-
dc.subject.keywordAuthor구망-
dc.subject.keywordAuthor축융-
dc.subject.keywordAuthor욕수-
dc.subject.keywordAuthor현명-
dc.subject.keywordAuthor후직-
dc.subject.keywordAuthor후토-
dc.subject.keywordAuthor중세생태주의-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 Kyu Ick photo

Cho, Kyu Ick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