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반왕을 통해서 본 불전문학의 주제와 의미- 정반왕과 석가의 부자지간의 정을 중심으로 -The Theme and Significance of Buddhist Literature on “Śuddhodana”- Focusing on Father-son Affection -

Other Titles
The Theme and Significance of Buddhist Literature on “Śuddhodana”- Focusing on Father-son Affection -
Authors
조은애
Issue Date
Mar-2020
Publisher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Keywords
불전문학; 석가; 정반왕; 월인천강지곡; 효; 아버지; 깨달음; Buddhist literature; Sakyamuni; Śuddhodana; filial affection; father; Weolincheongangjigok; Nirvana.
Citation
불교학보, no.90, pp.243 - 266
Journal Title
불교학보
Number
90
Start Page
243
End Page
266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5802
DOI
10.18587/bh.2020.3.90.243
ISSN
1226-1386
Abstract
본 연구는 석가와 그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는 불전문학에서 아버지인 정반왕과 석가의 부자지간의 정에 대한 주제를 생각해 보았다. 불전문학은 석가와 가족과의 갈등 그리고 인간적인 고뇌를 그려냄으로써 독자들에게 공감을 통해 불도로 이끄는 과정을 주제로 하는 특징이 있는데 출가로 인한 석가와 정반왕의 대립과 갈등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정반왕의 모습은 이러한 불전문학의 주제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불전문학인 월인천강지곡 은 아내와 아들을 잃은 세종의 마음이 정반왕의 상황에 겹쳐지면서 가족의 정이라는 주제가 두드러진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정반왕의 이야기는 크게 석가의 출가와 귀향 그리고 정반왕의 임종에서 석가와 대립하거나 아버지로서의 번뇌와 깨달음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월인천강지곡 의 대구형식은 석가와 대립하는 정반왕을 매우 효과적으로 보여주면서도 출전에는 없는 내용을 추가하거나 표현을 바꾸어 유교적인 이념에서의 비판을 완화하고자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을 구제하겠다는 석가의 의지와 자식을 염려하는 아버지로서의 마음 때문에 죽기 전까지 깨달음에 이르기 어려웠던 정반왕의 모습과 임종에 이르러 열반을 하게 되는 내용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 마야부인의 공덕과 이에 대한 석가의 효양에 집중되어 있던 불전문학 연구에 있어서 이에 대응하는 아버지의 정에 대한 주제의 중요성 지적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