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율곡 이이의 時宜와 對策Yulgok Yi I's Recognition of his Time’s Calling and Countermeasure

Other Titles
Yulgok Yi I's Recognition of his Time’s Calling and Countermeasure
Authors
곽신환
Issue Date
Sep-2020
Publisher
(사)율곡학회
Keywords
時宜; 對策; 實理; 實心; 土崩; 更張; Time’s Calling(時宜); Countmeasure(對策); Truth(實理); True mind(實心) Earth Fall(土崩); Reforming(更張)
Citation
율곡학연구, v.42, pp.5 - 37
Journal Title
율곡학연구
Volume
42
Start Page
5
End Page
37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9858
DOI
10.35436/yulgok.2020.42.0.5
ISSN
1738-8236
Abstract
율곡에게는 다른 학자 관료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策文과 시폐 上疏가 많다. 그의 책문은 성리학적 계몽의 내용으로 실리와 실심의 자연관을 담고 있다. 시폐 상소에서는 시국에 대한 진단과 경장 개혁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의 책문은 당시 사회의 현안을 알 수 있고 그 대책을 통하여 율곡이 지니고 있는 경세의 지향과 해결방안을 알 수 있다. 그는 위정자로서 時 곧 때 곧 상황을 중시하였고, 宜 곧 상황에서의 알맞음을 강조하였다. 그는 당시 상황이 土崩이라 하고 “更張하지 않으면 나라는 반드시 망한다”고 역설하였다. 경장에 있어서 그는 得中 合宜를 강조한다. 그러면 옳음과 이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고 한다. 또한 그는 ‘군국사무에 있어서는 나라에 편한 것 백성에 이로운 것이면 모두 해야 한다’는 것을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율곡의 개혁안 경장안은 대부분 시행되지 못하였다. 속류의 저항이 컸고, 그의 수명이 너무 짧았으며, 이미 회복이 힘든 상황이었고, 선조가 庸君이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wak, Shin Hwan photo

Kwak, Shin Hwa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Philosoph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