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모호성과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가 보험 수요에 미치는 영향: 배경위험을 중심으로The Effects of Increase in Ambiguity and Ambiguity Aversion on Insurance Demand: Focusing on the Background Risk

Other Titles
The Effects of Increase in Ambiguity and Ambiguity Aversion on Insurance Demand: Focusing on the Background Risk
Authors
전용호홍지민
Issue Date
Apr-2020
Publisher
한국보험학회
Keywords
보험 수요; 배경위험; 모호성 회피성향; 상대모호성회피도; 모호성 함수의 상대적신중성; insurance demand; background risk; ambiguity aversion; relative ambiguity aversion; relative prudence of ambiguity preference
Citation
보험학회지, no.122, pp.101 - 125
Journal Title
보험학회지
Number
122
Start Page
101
End Page
12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39925
DOI
10.17342/KIJ.2020.122.4
ISSN
1229-8611
Abstract
본 연구는 배경위험의 분포가 불확실할 경우 모호성 회피성향을 고려할 때의 보험 수요를 살펴보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배경위험을 다루고 있는 문헌에서 언급되지 않은 모호성 회피성향의 증가 및 모호성의 증가가 보험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이 모호성 중립적인 개인에 비해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보험구입에 따른 기대효용함수 및 한계효용함수가 배경위험의 상태의 변화에 따라 각각 증가 및 감소함수여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배경위험의 분포함수가 1차확률지배 또는 2차확률지배에 따라 변하고 효용함수가 신중성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면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에 대해 모호성 회피도가 증가하면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한다. 마지막으로 모호성 회피적인 개인에 대해 모호성이 증가할 경우 개인의 더 많은 보험을 구입하기 위한 충분조건에는 모호성 함수의 상대적모호성회피도 및 절대위험회피도가 영향을 미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ong, Jimin photo

Hong, Jimin
College of Natural Sciences (Department of Statistics and Actuarial Scienc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