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자율주행시대의 주차시설 재생을 위한 입지 특성 및 유형 분석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 Parking Facilities in Downtown Seoul for Regeneration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s

Other Titles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 Parking Facilities in Downtown Seoul for Regeneration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s
Authors
박치영
Issue Date
Mar-2022
Publisher
대한건축학회
Keywords
Parking Facilities; Regeneration; Characteristic Index; Cluster Analysis; Autonomous Vehicles; Downtown Seoul; 주차시설; 재생; 입지특성; 군집분석; 자율주행자동차; 서울 도심
Citation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38, no.3, pp.103 - 114
Journal Title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ume
38
Number
3
Start Page
103
End Page
114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349
DOI
10.5659/JAIK.2022.38.3.103
ISSN
2733-6239
Abstract
본 연구는 자율주행시대의 주차 수요 변화에 따라 재생이 필요한 도심 주차시설의 입지 특성과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재생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고찰과 전문가 자문을 통해 도출한 주차시설 입지 지표를 활용하여, 서울 도심에 위치한 공영 주차시설에 대한 문헌조사, 현장조사, 군집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발견하였다. 첫째, 주차시설 139개소의 공간, 구조, 규모, 용도, 접근성, 공공성은 도심 간 차이가 있었으며, 입지 특성에 따라 옥내 복합형, 공원 가로형, 저층 생활형, 상업 가로형 등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각 유형의 재생 방향은 입지 특성에 따라 스마트 주차, 리모델링, 복합·입체화, 재건축 등으로 제안하였고, 단계적으로 혼합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도심 주차시설의 효과적인 수요 관리와 실질적인 재생 설계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후속으로 자율주행시대의 서울 도심 주차 수요 예측을 기반으로 유형별 재생 계획 방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Chiyoung photo

Park, Chiyoung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