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국의 기업친화적 바이오클러스터 정책 및 전략에 관한 연구A Study on Business-oriented Bio-Cluster Policies and Strategies in Korea

Other Titles
A Study on Business-oriented Bio-Cluster Policies and Strategies in Korea
Authors
김동수김용덕
Issue Date
Apr-2022
Publisher
한국경영컨설팅학회
Keywords
Bio-cluster policy; Bio-cluster promotion strategy; Cross-Tabulation analysis; 바이오클러스터정책; 바이오클러스터육성전략; 교차분석
Citation
경영컨설팅연구, v.22, no.2, pp.213 - 228
Journal Title
경영컨설팅연구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213
End Page
228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411
ISSN
1598-172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경쟁력확보에 크게 기여할 바이오산업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대안 제시에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정부의 바이오클러스터정책의 효과를 높이면서 바람직한 바이오클러스터를 추진하는 전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활용하고 있는 바이오클러스터 육성수단에 대하여 전국에 산재해 있는 94개 바이오기업들을 대상으로 과연 우리나라에 바람직한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대다수 기업들은 정부 바이오클러스터 정책의 실효성을 좀 더 높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둘째 입지별로 입지와 기술개발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 내 대학교와 연구기관의 역할을 강화하며 연구개발자금과 인력부족 문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인프라측면에서는 임상시험시설, 연구개발시설, 시험생산시설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었다. 넷째 전문인력에 대해서는 연구전문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이외에 경영관리인력에 대한 수요도 상당하였다. 다섯째 마케팅, 벤처캐피탈, 법률⦁회계서비스, 경영자문 등 전문서비스기관/기업에 대한 수요가 컸으며, 마지막으로 역내 네트워크 활성화 등 바이오클러스터내 정보교류를 촉진함으로써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이오클러스터가 바이오기업 발전과 바이오산업 육성의 효율적인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기술력이 확보되어야 하고, 다음으로는 시장, 즉 바이오관련 상품, 서비스, 기술 등의 수요 및 공급과 네트워크와 같은 커뮤니케이션문화 등이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ng Duck photo

Kim, Yong Duck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