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보조사 ‘도’의 의미작용과 기능의 통합적 설명에 대하여 - ‘전제 유발자’, ‘전제 수용’, ‘연결 짓기’ 등의 개념을 기반으로 -Signification and Integrating Account of the Particle “Do” - Based on “presupposition trigger,” “accommodation,” and “bridge-building” -

Other Titles
Signification and Integrating Account of the Particle “Do” - Based on “presupposition trigger,” “accommodation,” and “bridge-building” -
Authors
임채훈
Issue Date
Sep-2022
Publisher
중앙어문학회
Keywords
Particle; semiosis; presupposition trigger; accommodation; bridge property; bridge-building; entailment; implication; causality; 보조사; 의미작용; 전제; 전제 유발자; 수용; 연결 속성; 연결 짓기; 함의; 함축; 인과관계
Citation
어문론집, v.91, pp.53 - 82
Journal Title
어문론집
Volume
91
Start Page
53
End Page
8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786
DOI
10.15565/jll.2022.6.91.53
ISSN
1229-6406
Abstract
이 논문은 보조사 ‘도’가 ‘더함’이나 ‘마찬가지’의 의미 기능을 어떻게 표상하는지 그과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예외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나 기능 등을 통합적으로설명할 수 있었다. 보조사 ‘도’는 대표적인 전제 유발자로서 전제가 화․청자의 배경 정보로서 선택․수용되거나 선행하는 문맥에 조응해야만 그 기능을 적절하게 표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제가 선택되거나 조응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보조사 ‘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하관계로부터 함의된 내용, 문맥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는 함축 의미를 통해‘연결 속성’을 가질 때에도 ‘더함’이나 ‘마찬가지’의 의미 표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화․청자가 공유하는 배경 정보로서 조건․인과관계의 명제가 선택되면 보조사 ‘도’가 실현된 문장과 선행 문맥 간에 ‘조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기제를 바탕으로 인과적 해석이 가능한 상황에서 보조사 ‘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는 ‘마찬가지’의 의미와 더불어 ‘타당’하고 ‘당연’하다는 어감도 나타낼 수 있다. 이 논문은 문법 요소가 가지는 의미 기능이 무엇인지 단순히 제시하기보다는 그러한의미가 표상되는 과정, 즉 의미작용을 밝히고 이를 통해 해당 문법 요소가 가지는 다양한양상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im, Chae hun photo

Yim, Chae hun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