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아동의 자아존중감, 학업스트레스, 학교적응과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open access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cademic stress, school adjustment and happiness

Other Title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self-esteem, academic stress, school adjustment and happiness
Authors
유경훈손유선
Issue Date
Aug-2022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Keywords
Children' s Happiness; School Adjustment; Academic Stress; Self-Esteem; Structural Equation Model; Korean Children' s Panel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3, no.8, pp.496 - 505
Journal Titl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ume
23
Number
8
Start Page
496
End Page
50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2822
DOI
10.5762/KAIS.2022.23.8.496
ISSN
1975-47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이 자아존중감을 통해 아동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한국아동패널(PSKC: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이하 PSKC)의 11차년도(2018, 초4)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이하 SEM)으로 검증하였으며, SPSS 23.0, AMOS 18.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아동 행복감과 관련된 잠재 변인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구조모형 모델은 구조적으로 적합하였고,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세 변인 모두가 아동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 째,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은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아동 행복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 간접효과의 검증에서 학교적응과 학업스트레스 중 학업스트레스에서만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학교적응, 자아존중감은 아동 행복감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특히 학교생활의 여러 상황에서 자아존중감은 아동 행복감에 매우 중요한 것임을 확인한 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다. 그러므로 아동 행복감을 위해서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학교적응, 자아존중감 등 주요 요인에 대한 주변의 지속적인 관심 및 시기별 연구가 꾸준히 필요할 것임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 Gyeong Hun photo

Yu, Gyeong Hun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