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사실적 기억과 감정적 기억 - W.G. 제발트와 노라 크루크의 기억서사 비교 분석Faktische Erinnerung, emotionale Erinnerung

Other Titles
Faktische Erinnerung, emotionale Erinnerung
Authors
구연정
Issue Date
Dec-2022
Publisher
한국독어독문학회
Keywords
Sebald; Krug; emotionale bildliche Erinnerung; prosaische Nüchternheit; Familiengedächtnis; 제발트; 크루크; 감정적 시각적 기억; 산문적 냉철함; 가족기억
Citation
독어독문학, v.63, no.4, pp.5 - 30
Journal Title
독어독문학
Volume
63
Number
4
Start Page
5
End Page
3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3022
DOI
10.31064/kogerm.2022.63.4.5
ISSN
1226-8577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최근 나치 과거에 대해 새로운 기억방식을 보여준 대표적인 두 작가 제발트와 노라 크루크의 기억작업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두 작가는 둘다 사후기억 세대에 속하면서도 독일을 떠나 이주민으로서 나치 과거를 탐색하고 있는 점, 또한 그 시대를 경험하지 못한 자신들의 경험의 부재, 기억의 부재를 극복하는 방식으로서 사실을 탐색하고 이미지적으로 허구를 투입하는 매체 전략을 구사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기억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이 두 작가의 기억작업은 사적 차원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삶과 죽음을 재구성/기억하는 방식을 취한다는 점에서, 또 이들의 기억서사에서 희생자담론과 가해자담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하다. 그러나 이들의 기억서사의 효과는 완전히 다르다. 제발트의 냉철한 산문적 언어는 한 개인이 겪은 고통의 사건을 역사적 사건의 실체와 긴밀하게 연관지음으로써 역사적 파국이 한 개인의 삶을 얼마나 깊이 훼손하였는지 돌이켜보도록 한다. 한편 크루크의 감정적 시각적 언어 또한 역사적 사건을 조명하지만, 오히려 크루크는 가족기억이라는 구도 안에서 친위대원 삼촌을 희생자로서 조명함으로써 살아남은 독일인 가족의 트라우마를 서사화한다. 그 결과 역사의 실제 희생자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은 크루크의 다채롭고 정서적인 시각적 이미지들 속에서 쉽게 간과되고 있다. 제발트의 기억작업과 비교해 보면 크루크의 역사인식의 문제점이 보다 분명히 인식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Gu, Yeon Jeong photo

Gu, Yeon Jeong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Germ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