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만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검증The Classification of Quality of Lif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Multicultural Youth

Other Titles
The Classification of Quality of Life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Influencing Factors of Multicultural Youth
Authors
박희진김민선김재훈백경민송영호연규진폴김
Issue Date
Apr-2022
Publisher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Keywords
Multiculcural Youth;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Latent Profile Analysis; 다문화 청년; 삶의 만족도; 직무만족; 잠재프로파일분석
Citation
다문화와 평화, v.16, no.1, pp.174 - 202
Journal Title
다문화와 평화
Volume
16
Number
1
Start Page
174
End Page
20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3162
DOI
10.22446/mnpisk.2022.16.1.007
ISSN
2092-576X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청년들을 대상으로 청년들이 삶의 만족과 직무만족에 따라 몇 개의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를 살펴보고, 각 잠재계층이 인구통계학적 특성(출생국가, 성별, 지역, 나이, 학력, 개인소득, 가계소득, 사회경제적 지위), 관계 및 문화적 특성(부모와의 관계, 가족건강성, 다문화수용성)에 의해 유의하게 분류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총 251명의 다문화 청년들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총 4개의 잠재계층(집단 1 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 집단 2 낮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 집단 3 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 4 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으로 분류되었다. 집단 간에 정서적 어려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집단 4(높은 삶의 만족과 일자리 만족)에서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가 가장 높고, 정서적 어려움이 낮았으며, 다음으로 집단 1(중간 삶의 만족-낮은 일자리 만족)의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단 2(낮은 삶의 만족)와 집단 3(낮은 삶의 만족-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의 경우 정서적 어려움이 가장 높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Baek, Kyungmin photo

Baek, Kyungmin
College of Social Sciences (Department of Information Sociolog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