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임진록>에 반영된 당대의 담론-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한문본과 한글본을 중심으로-Contemporary discourse reflected in <Imjinrok>-Focusing on the Chinese and the Korean version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ther Titles
Contemporary discourse reflected in <Imjinrok>-Focusing on the Chinese and the Korean version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uthors
장경남
Issue Date
Jun-2022
Publisher
한국고소설학회
Keywords
Imjinrok;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worship of the ming dynasty; Grace that rebuilt the country; Confucian-Cultural Succession; Sinocentrism in Joseon Korea; 임진록; 임진왜란; 재조지은; 숭명의식; 중화계승의식; 조선중화주의
Citation
고소설연구, no.53, pp.5 - 32
Journal Title
고소설연구
Number
53
Start Page
5
End Page
3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3172
DOI
10.23836/kornov.2022.53.5
ISSN
1229-4896
Abstract
<임진록>은 임진왜란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주요 내용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 사실 기록의 이본이 존재하는가 하면 역사적 사실에서 벗어나 허구적 서사로 진행되는 이본이 존재하기도 한다. 그 대표적 이본이 국도 한문본과 국도 한글본이다. 두 이본이 형성된 당대의 담론이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본 결과, 역사계열로 구분되는 국도 한문본은 전후에 형성된 재조지은과 숭명의식이 반영되었고, 최일영계열 가운데 국도 한글본은 중화 계승의식과 조선 중화주의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각기 다른 담론의 반영은 이본의 형성 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의 지배 담론은 재조지은에 입각한 대명의리였다. 당연히 대명의리에 입각한 숭명의식이 반영된 이본인 국도 한문본의 형성 시기는 대체적으로 전후에서 멀지 않은 시점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북벌론이 현실적 한계를 다해 북학론으로 대체되는 과정에서 숭명의식은 반감되었고, 대신 조선이 중화 문명을 계승한다는 조선중화주의가 자리하면서 임진왜란을 다른 시각에서 회고하게 되었는데, 이를 반영한 것이 국도 한글본이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ang, Kyung Nam photo

Jang, Kyung Nam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