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경종 대의 왕세제 책례 -책례도감의 준비 과정과 의궤 편찬-The investiture ceremony of Wangseje in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Other Titles
The investiture ceremony of Wangseje in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Authors
강문식
Issue Date
Apr-2023
Publisher
한국사상사학회
Keywords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英祖王世弟冊禮都監儀軌); 경종; 연잉군; 왕세제; 책례도감; 노론; 소론; Yeongjo Wangseje Chaeknyedogam Uigwe; king Gyeongjong; Yeoning-gun; Wangseje; Chaeknyedogam; Noron; Soron
Citation
한국사상사학, v.73, no.73, pp.187 - 225
Journal Title
한국사상사학
Volume
73
Number
73
Start Page
187
End Page
225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3905
DOI
10.31309/SKHT.73.202304.6
ISSN
1226-9441
Abstract
본고는 1721년(경종 1)에 거행된 연잉군(延礽君)의 왕세제(王世弟) 책봉 과정을 기록한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英祖王世弟冊禮都監儀軌) 의 내용을 분석하여 당시 책례도감의 의례 준비 과정 및 그것이 갖는 예제적・정치적 의미를 고찰한 연구이다. 1721년 8월 20일 연잉군의 저사(儲嗣) 책봉이 결정된 후 조선 정부는 책례를 주관할 도감의 관원을 임명했으며, 또 왕세제・왕세제빈의 죽책문・교명문 등을 작성할 제술관・서사관을 인선하였다. 노론은 책례를 통해 자신들이 추진한 건저(建儲)의 정당성을 천명하고자 했고, 이에 따라 도감 관원과 제술관・서사관 등을 노론 관료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소론 조태구를 책례도감 도제조로 임명하고 소론 관료 일부를 제술관 예차나 서사관에 배치하는 등 건저에 대한 소론의 반발을 무마하고 동의를 얻어내려는 시도도 하였다. 반면, 소론은 노론이 주도하는 책례에 동참하는 것이 노론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그에 따라 조태구는 도제조 직을 사퇴하였고, 최규서・이정신 등도 신병을 이유로 책례 관련 직책을 사양하였다. 조선에서 국왕의 후계자가 ‘왕세제’로 불린 경우는 연잉군의 사례가 유일하며, 따라서 왕세제 책례는 사실상 처음 거행되는 의례였다. 이 때문에 책례를 준비할 때 전범으로 삼을 전례(前例)가 명확하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책례도감에서는 1690년(숙종 16)에 거행된 경종의 왕세자 책봉에 관한 기록을 가장 중요한 전범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미진한 사안들은 경종의 가례와 효종의 왕세자 책봉 관련 기록으로 보완하였다. 조선 정부는 저사 책봉이 결정된 후 연잉군의 거처를 궁으로 옮기기로 하고 9월 6일을 입궐일로 확정했다. 또 왕세제・왕세제빈의 책례일을 9월 26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책례 준비 일정이 한 달 정도에 불과한, 촉박한 상황을 맞게 되었다. 당시 소론은 건저 논의 절차의 부당성을 지적하면서 강하게 반발했는데, 이에 노론은 정치적 논란이 지속되면 건저의 정당성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책례 일정을 신속히 마무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책례도감에서는 준비 시간의 부족을 메우기 위해 작업 인력의 추가 투입과 야역(夜役, 야간작업) 시행 등의 대책을 마련했고, 그 결과 왕세제・왕세제빈의 책례는 예정대로 거행될 수 있었다. 영조왕세제책례도감의궤 의 「의궤질」에는 본 의궤의 편찬 과정이 정리되어 있는데, 그 내용이 소략한 편이다. 이는 김창집을 비롯하여 의궤청의 당상・도청을 맡은 노론 대신들이 왕세제 대리청정 문제로 탄핵을 받고 유배되면서 의궤 편찬의 마무리 작업을 낭청 김도흡이 혼자 담당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는 연잉군의 저사 책봉으로부터 신축년 옥사에 이르는 일련의 정치적 상황이 책례 준비 과정뿐만 아니라 의궤 편찬에도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Moonshik photo

Kang, Moonshik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History)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