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코로나19 대응에서 발신자 특성과 재난 메세지가 구성원의 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공중관계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nd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Messages on Members' Response Behavior in Response to COVID-19: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Relations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nder Characteristics and Disaster Messages on Members' Response Behavior in Response to COVID-19: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Relations
Authors
정기식정종수
Issue Date
Jun-2023
Publisher
한국재난정보학회
Keywords
Crisis Communication; SMCRE Model; Public Relations; COVID-19; 위기커뮤니케이션; SMCRE모형; 공중관계성; COVID-19
Citation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19, no.2, pp.352 - 362
Journal Title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ume
19
Number
2
Start Page
352
End Page
362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44082
DOI
10.15683/kosdi.2023.6.30.352
ISSN
1976-2208
Abstract
연구목적: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위기커뮤니케이션을 위해 평상시 어떤 활동들이 기업에 요구되는지를 탐색하여 정책적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L기업에 재직 중인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사의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느낀 재난 대응부서, 재난 메시지와 평상시 회사에 대한 인식 및 종사자의 반응행동 정도에 대해 설문하였다. 연구결과 : 첫째, 발신자 특성은 구성원의 행동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기업 내부의 재난 대응 메시지는 구성원의 규범적 행동에는 영향이 없는 반면, 재량적 행동에는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셋째, 발신자 특성과 재난 대응 메시지는 공중관계성에 정적 영향을 나타냈으며, 공중관계성은 발신자 특성과 구성원의 재량적 행동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평상시 기업 내부의 재난 컨트롤타워에서는 재난 대응 메시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며, 공중관계성 강화를 위한 구성원 친화적인 기업문화 구축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eung, Chongsoo photo

Cheung, Chongsoo
Graduate School (Program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