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중년 여성들의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요인The Convergent factors influencing of the Middle Aged Women's Perceived Aging

Other Titles
The Convergent factors influencing of the Middle Aged Women's Perceived Aging
Authors
정문신권혜진
Issue Date
Feb-2017
Publisher
한국디지털정책학회
Keywords
Middle Aged Women' s; Perceived Aging; Aging Anxiety; Stress; Convergent factors; 중년여성; 노화인식; 노화불안; 스트레스; 복합적 요인
Citation
디지털융복합연구, v.15, no.2, pp.493 - 501
Journal Title
디지털융복합연구
Volume
15
Number
2
Start Page
493
End Page
501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608
DOI
10.14400/JDC.2017.15.2.493
ISSN
1738-1916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40~50대 중년기 여성 230명을 대상으로 건강상태, 생활습관, 심리적 상태에 따른 노화인식을 조사하여 중년기에 급격하게 진행되는 노화를 예방하고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는 미용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5년 7월 25일부터 2015년 9월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ANOVA 및 Duncan test로 분석하였다. 연령이 높을수록 폐경비율이 높았고, 음주, 운동량, 수면시간이 줄어든 반면 스트레스와 심리적 압박감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여부에 따라 안면노화의 상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χ²=39.692***, p<.001), 여가(취미)활동의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를 나타냈다(χ²=22.470***, p<.01). 또, 노화의 진행정도, 노화에 대한 불안감,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의 항목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폐경에 가까울수록 부정적인 인식을 보여 50세 전후의 노화와 폐경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제2의 사춘기와도 같은 이 시기를 겪는 40~50대 중년기 여성들을 위한 미용적 대안이 마련된다면 성공적 노후를 맞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