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日本殖民地作家张赫宙之东亚跨语际实践Research of East Asia Transcultural Practices in Korean Colonial Writer Jang Hyeok-Ju

Other Titles
Research of East Asia Transcultural Practices in Korean Colonial Writer Jang Hyeok-Ju
Authors
주숙하
Issue Date
Jan-2017
Publisher
중국어문논역학회
Keywords
East Asia Culture; Colonial Writier; Jang Hyeok-Joo; performativity; transcultural practices; 동아시아문학; 식민지작가; 장혁주; 수행성; 다중문화의 실천
Citation
중국어문논역총간, no.40, pp.181 - 199
Journal Title
중국어문논역총간
Number
40
Start Page
181
End Page
199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648
ISSN
1226-8100
Abstract
본고는 흔히 ‘親日’작가라고 불리는 장혁주에 관한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일본⋅대만⋅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의 작가나 문학평론가의 서술을 살펴보면서, 각 지역문화와 언어규칙, 그리고 발화의 상황에 따라 주관적인 퍼포먼스를 추가하며 이의 수행성에 관해 논하며 이를 입증하고자 한다. 그는 오랜 기간 친일파라는 명칭의 반복에도 이원적 대립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미부여를 해왔다. 일본학계는 한국에서 금기시 되었던 장혁주라는 문인의 인간성을 근간으로 그의 작품성을 이해해주었고, 그의 연구 또한 동아시아 학계의 대표적 논저가 되었다. 일본의 식민지라는 동일한 상황 하에 놓여 있던 대만 학계는 주로 일본의 연구에 의존하여 장혁주를 해석하였지만, 戰時의 대만은 한국과 달리 장혁주를 성공의 역할모델로 삼고 ‘장혁주 콤플렉스’라는 현상 또한 생겨났다. 중국은 중⋅일 전쟁 시기 현실주의 의식에 입각하여 동아시아 약소민족문학을 번역하던 중 일본어 자료를 통해 장혁주의 작품을 접하게 되었다. 그러나 조선과 장혁주에 대한 아무런 사전지식도 없는 상태에서 단지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의식을 표출하기 위한 번역이었다. 장혁주에 둘러싸인 많은 담론들을 교차대조하면서 중국현대문학에서 어떻게 現代性을 이해하고 수용되어 가는지 그 과정을 엿볼 수 있으며 문학작품 텍스트 자체를 중요시하기 보다는 다중문화 및 언어 간 전환 과정에서 再 의미화 및 再 맥락화의 수행에 무게를 두고자 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u, Shu Shia photo

Chu, Shu Shia
College of Humanities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