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쾌락복원이론과 그 수사학적 적합성: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I 11장의 쾌락 정의The Restoration Theory of Pleasure and Its Rhetorical Usefulness: The concept of pleasure in Aristotle’s Rhetoric I 11

Other Titles
The Restoration Theory of Pleasure and Its Rhetorical Usefulness: The concept of pleasure in Aristotle’s Rhetoric I 11
Authors
한석환
Issue Date
Sep-2017
Publisher
철학연구회
Keywords
acceptable opinions; activity; counter-emotions; mixed emotions; movement/process; pleasure; restoration; 대립감정; 복원; 생성과정/운동; 쾌락; 통념; 혼합감정; 활동
Citation
철학연구, no.118, pp.1 - 24
Journal Title
철학연구
Number
118
Start Page
1
End Page
24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859
DOI
10.23908
ISSN
1229-022X
Abstract
아리스토텔레스가『수사학』 I 11장에서 내놓는 쾌락 정의는 그가 『니코마코스 윤리학』7권과 10권에서 내놓는 그것과 사뭇 다르다. 전자는 쾌락을 복원이라고 하지만 후자는 활동이라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이에 이 글은 어째서 이런 차이가 나는지 그 이유를 따져 묻는다. 종국적으로는 윤리학적 쾌락이론으로는 다 설명할 수 없는 구석이 있어 청중과의 소통이 핵심 과제인 수사학에서는 통속적인 쾌락을 설명하는 데 안성맞춤인 플라톤식의 복원 이론이 인용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요는 관심의 대상이 되는 쾌락이 서로 달라 그 정의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었다는 말이다. 그밖에도 쾌락복원모델은 혼합감정과 대립감정을 설명하는 데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논의는 먼저아리스토텔레스가『수사학』에서 인용하는 플라톤식의 쾌락 정의가 대체 어떤성질의 것인지 살핀다. 이어서『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는 어째서 플라톤식의쾌락 정의가 거부되는지 그 전후사정을 규명한다. 그리고 끝으로 『수사학』의 아리스토텔레스가 어째서 플라톤식의 쾌락 정의를 인용하는지 그 이유를 밝힌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Philosoph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hn, Seok Whan photo

Hahn, Seok Whan
인문대학 (철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