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국채선물 헤지효율성 성과에 관한 실증분석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Hedge Effectiveness of Korea Treasury Bond Futures

Other Title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Hedge Effectiveness of Korea Treasury Bond Futures
Authors
최완석이준희
Issue Date
Aug-2017
Publisher
한국파생상품학회
Keywords
Treasury Bond Futures; Hedge; Hedge Effectiveness; Risk-Minimization; Price Sensitivity; 국채선물; 헤지모형; 헤지효율성; 최소분산모형; 가격민감도모형
Citation
선물연구, v.25, no.3, pp.369 - 403
Journal Title
선물연구
Volume
25
Number
3
Start Page
369
End Page
403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6956
ISSN
1229-988X
Abstract
본 연구는 실무적 관점에서 국채선물의 헤지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우선 헤지모형별 헤지효율성 차이를 최소분산모형, VECM 모형, 가격민감도모형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가격민감도모형의 헤지효율성이 높게 나왔으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음으로 채권의 신용등급차이, 만기불일치, 이자율만기구조, 선물 만기일까지의 일수 및 가격괴리가 헤지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채권의 신용등급 차이가 헤지효율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고, 신용등급이 BBB급 이하 채권에서는 헤지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헤지대상 자산과 국채선물의 만기불일치가 헤지효율성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헤지대상 자산과 국채선물의 만기가 비슷한 경우 높은 헤지효율성을 나타냈다. 한편 이자율만기구조, 가격괴리, 선물 만기일까지의 일수는 헤지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국채선물 헤지효율성은 헤지모형보다는 헤지대상 채권의 신용등급 및 선물과 현물간의 만기차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수익률곡선의 형태, 가격괴리, 선물 만기일까지의 기간에는 일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헤지모형의 헤지효율성만 분석한 것과 달리 헤지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3년 국채선물과 10년 국채선물을 같이 비교 분석하였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Rhee, Joon Hee photo

Rhee, Joon Hee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