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uthors
유경훈
Issue Date
Oct-2017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Keywords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18, no.10, pp.462 - 470
Journal Title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ume
18
Number
10
Start Page
462
End Page
47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7169
DOI
10.5762/KAIS.2017.18.10.462
ISSN
1975-4701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197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를 더 잘 설명하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학업성취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 취에서도 높은 정적 상관이 밝혀졌다. 회귀분석에 의한 설명력을 살펴보면 학업적 효능감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난이도가 의미있게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는 자신의 학습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평가력과 스스로 학습을 선택하고 계획하며 자신의 과정을 확인하며 결과까지 평가하는 독립성 변인이 유의한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의 이러한 변인들을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Major in Early Child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 Gyeong Hun photo

Yu, Gyeong Hun
Graduate Schoo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