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석가여래십지수행기』 제10지 <실달태자>에 나타난 ‘향’ 모티브의 수용과 의미-돈황변문자료 ‘석가일대기(佛傳)’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애-
dc.date.available2018-05-09T01:43:26Z-
dc.date.created2018-04-17-
dc.date.issued2017-10-
dc.identifier.issn1229-7429-
dc.identifier.uri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7173-
dc.description.abstract석가여래십지수행기 의 제10지 &lt;실달태자&gt;는 석가의 출생과 출가 그리고 깨달음 이후의 행적과 열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석가일대기’ 이다. 여기서 석가는 출가하기 직전에 부인인 야수다라에게 위험한 상황이 닥치거든 사용하라며 ‘향’을 건네준다. 그러나 후에 향이 사용되는 전개는 없으며 석가가 출가한 이후의 내용이 매우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텍스트의 후반부는 미완성이거나 혹은 전사의 과정에서 생략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또한 저본불경에서는 향의 모티브가 확인되지 않는 다는 점에서 석가여래십지수행기 의 편자가 독창적으로 고안했다는 해석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중국의 돈황변문자료인 태자성도경 과 실달태자수도인연 에서 향의 모티브를 찾을 수 있었으며 양국의 텍스트가 강창의 소재로 사용되었다는 공통점을 통해 보다 대중에게 친근한 ‘석가일대기’로의 변이라는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lt;실달태자&gt;의 후반부가 간략화 되는 특징 역시 돈황의 석가일대기의 영향이며, 나아가 석가여래십지수행기 가 출가이전의 수행과 가족 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주제의식 하에 가족과 헤어진 이후의 전개는 간략하게 기술했다고 보았다. 또한 중세 이후 동아시아에서는 불교경전의 내용에서 벗어난 다양한 ‘석가일대기’가 다수 간행 향유되는데 유일하게 한국의 ‘석가일대기’에서만 돈황자료에 등장하는 향의 모티브가 전승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향의 모티브는 석가의 인간적인 면모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며 이를 통해 한국의 ‘석가일대기’가 석가의 영웅성이나 위엄보다는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인간적인 모습과 이를 극복하고 부처가 되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앞으로의 ‘석가일대기’에 대한 연구는 저본경전과의 내용비교에서 보다 시야를 넓혀 대중을 대상으로 변이된 동아시아의 석가일대기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dc.language한국어-
dc.language.isoko-
dc.publisher우리문학회-
dc.relation.isPartOf우리문학연구-
dc.subjectSakyamunisipjisuhanggi-
dc.subjectBuddha-
dc.subjectYaśodharā-
dc.subjectincense-
dc.subjectDunhuang-
dc.subject석가여래십지수행기(釋迦如來十地修行記)-
dc.subject팔상록(八相録)-
dc.subject실달태자(悉達太子)-
dc.subject석가(釋迦)-
dc.subject야수다라(耶輸陀羅)-
dc.subject향(香)-
dc.subject돈황(燉煌)-
dc.title『석가여래십지수행기』 제10지 &lt;실달태자&gt;에 나타난 ‘향’ 모티브의 수용과 의미-돈황변문자료 ‘석가일대기(佛傳)’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Literary Acceptance and Meaning of the Incense in “Sakyamunisipjisuhanggi”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Data of Dunhuang--
dc.typeArticle-
dc.identifier.doi10.20864/skl.2017.10.56.191-
dc.type.rimsART-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우리문학연구, no.56, pp.191 - 217-
dc.identifier.kciidART002282406-
dc.description.journalClass2-
dc.citation.endPage217-
dc.citation.number56-
dc.citation.startPage191-
dc.citation.title우리문학연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조은애-
dc.identifier.url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282406-
dc.description.isOpenAccessN-
dc.subject.keywordAuthorSakyamunisipjisuhanggi-
dc.subject.keywordAuthorBuddha-
dc.subject.keywordAuthorYaśodharā-
dc.subject.keywordAuthorincense-
dc.subject.keywordAuthorDunhuang-
dc.subject.keywordAuthor석가여래십지수행기(釋迦如來十地修行記)-
dc.subject.keywordAuthor팔상록(八相録)-
dc.subject.keywordAuthor실달태자(悉達太子)-
dc.subject.keywordAuthor석가(釋迦)-
dc.subject.keywordAuthor야수다라(耶輸陀羅)-
dc.subject.keywordAuthor향(香)-
dc.subject.keywordAuthor돈황(燉煌)-
dc.description.journalRegisteredClasskci-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