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일본 도심 소규모 단독주택 내 공적공간(LDK)의 평면과 입체의 조합유형The Composition Types of Layout and Three-dimensional of the Public Space(LDK) in Small Houses in Japan

Other Titles
The Composition Types of Layout and Three-dimensional of the Public Space(LDK) in Small Houses in Japan
Authors
신미옥윤춘섭김남효
Issue Date
Apr-2016
Publisher
한국실내디자인학회
Keywords
소규모 단독주택; 공간 특징; 공적공간; LDK; Small-sized detached house; Space Features; Public Space; LDK
Citati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5, no.2, pp.92 - 100
Journal Titl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olume
25
Number
2
Start Page
92
End Page
10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8056
ISSN
1229-7992
Abstract
국내 구도심의 저층주거지에 소규모로 건축되며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성하는 단독주택이 이슈화되고 있는 최근,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소규모 단독주택의 내부공간 계획에 다양하게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이미 보편화되고 다양화된 일본의 소규모 단독주택 내 LDK의 연결 및 분할방식에 대하여 분석하여 유형화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DK의 배치관계에 따라 평면조합유형을 16개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 중 LDK가 일열로 배치되는 유형이 28.9%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LDK의 평면조합유형을 평면구성방식에 따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38개 유형으로 도출하였다. 이 중 ‘LDKL’은 본 연구에서 새롭게 부가한 기호로 K와 L이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 경우에 적용되었으며 38개 유형 중 9개 유형에서 나타났다. LDK연결관계는 LDK형이 60.8%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L-DK형이 29.9%로 나타났으며 LD-K이 6.2%, L-D-K형이 2.1%로 적게 나타났다. LDK가 주변공간과 입체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Void 공간을 통하여 윗층 복도에 오픈된 작업공간과 시각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경사지붕의 높은 부분에 있는 다락과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oon, Choon Sup photo

Yoon, Choon Sup
College of Engineering (School of Architecture)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