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사회과 수업이 중학생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The effects of social studies program to promote core competenci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e leadership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ocial studies program to promote core competencie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creative leadership
Authors
한영식이경화
Issue Date
Mar-2015
Publisher
한국창의력교육학회
Keywords
핵심역량; 사회과 핵심역량 수업모델; 창의적 리더십; Core Competency; Creative Leadership; Social Studies-Core Competency Program
Citation
창의력교육연구, v.15, no.1, pp.1 - 20
Journal Title
창의력교육연구
Volume
15
Number
1
Start Page
1
End Page
20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8906
ISSN
1976-944X
Abstract
학교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이경화 외(2014)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영역 핵심역량 함양 수업모델을 중학교 교실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한 후, 사회교과 시간에 적용하여 중학생의 핵심역량과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전, 사후검사로 핵심역량 체크리스트, 수업목표 관련 사회교과 기반 핵심역량 평가, 창의적 리더십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본 연구에서 재구성한 사회과 핵심역량 수업모델을 실험집단에 적용하였다. 사전검사 결과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각 요인에서 동질성이 확보되었으므로, 실험실시 후의 사후검사 점수를 사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사후-사전검사 평균점수 비교(t-test)를 통해 실험 후 향상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핵심역량에 있어서는 공통, 세부 및 전체 핵심역량에서 향상이 나타났으며, 수업목표 관련 사회교과 기반 역량에서도 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창의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사회적 리더십을 제외한 창의적 리더십 전체 점수와 개인적 리더십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핵심역량 함양 수업모델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세계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역량중심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신뢰롭고 타당하게 개발된 핵심역량 함양 수업모델이 잘 활용되어야 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할 수 있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yung Hwa photo

Lee, Kyung Hwa
Department of Lifelong Education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