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미래 교실환경 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실구성 분석A Study on the Elementary Classroom Configuration for Improvement of Future Classroom Environment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lementary Classroom Configuration for Improvement of Future Classroom Environment
Authors
양혜진김남효
Issue Date
Apr-2015
Publisher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Keywords
Elementary School; Future Classroom; Smart Education
Citation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15, no.2, pp.121 - 131
Journal Title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ume
15
Number
2
Start Page
121
End Page
131
URI
http://scholarworks.bwise.kr/ssu/handle/2018.sw.ssu/9170
DOI
10.17280/jdd.2015.15.2.013
ISSN
1598-2319
Abstract
인간은 자신이 속한 사회,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사는 집, 일하는 공간, 눈에 보이는 모든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비해 학생의 심리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물리적 환경에는 큰 관심이 없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의 환경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 미래 교실에서 첨단 기계와 교구의 활용과 더불어 물리적 환경의 변화 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선행연구와 문헌,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연구보고서 등을 바탕으로 국내 교과교육과정의 흐름에 따라 패러다임을 구별하고, 학습공간의 특징을 파악하였고, 미래 교실의 물리적 환경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화를 창의·인성·역량중심 교육으로의 흐름의 관점으로 전통적, 과도기적, 변형적 패러다임의 기준을 정하였다. 전통적 학습공간은 열약하였고, 별다른 기구 없이 흑판에 교사가 수제교안을 통해 교사주도형 교육을 하도록 2인용 책상이 빽빽이 들어서있는 정도의 모습이었다. 과도적 학습공간은 교단선진화운동이 시작된 시기인 만큼 컴퓨터, 프로젝션 TV, 인터넷 등이 교실에 보급되었고, 다목적 교탁이 설치되었다. 변형적 학습공간은 창의인성교육과정의 영향을 받아 모둠수업이 가능한 교실의 형태로 바뀌었고, 첨단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기기가 보급되었다. 미래형 학습공간은 스마트 교육이 도입됨에 따라 모든 활동을 기계의 활용을 통해 진행할 수 있게 되며,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런 발전의 마지막에는 전통적 교실 공간이 소멸될 것을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교실의 지나친 디지털화는 다양한 신체적 부작용을 초래하고, 오감을 활용하는 인간에게 다소 편하지 않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교실은 어린이들이 가장 많이 머무는 공간 중 한 곳으로 지적인 학습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다. 학생들의 인지와 정서, 창의성에 발달을 미치는 물리적 공간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할 것이고, 긍정적인 물리적 환경 변화를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 육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의 실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Go to Link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ngineering > School of Architectur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