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초, 중, 고등학생의 성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uthors
이규영송승훈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간호교육학회
Keywords
청소년; 성지식; 성교육 프로그램; Adolescent; Sex; Knowledge; Sex education
Citation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21, no.3, pp 406 - 416
Pages
11
Journal Title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ume
21
Number
3
Start Page
406
End Page
41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0635
DOI
10.5977/jkasne.2015.21.3.406
ISSN
1225-9578
2093-7814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초, 중, 고등학생 721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초, 중, 고등학생별 발달단계에 따른 성지식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초, 중, 고등학생별 성교육 요구를 파악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학교에서 성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성교육 경험은 많아졌으나, 학교 성교육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학생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줄어들었다. 또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성지식 수준은 높아졌으나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이는 학교 성교육의 효과가 크지 않음을 시사하며, 보다 효과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성별, 학년, 학교성적, 가정과 학교에서의 성교육 경험이 성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급별로 차이를 보였다. 학생들이 가장 배우고 싶어 하는 성교육은 모든 학교급에 공통적으로 ‘상황별 대처방법’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은 남녀의 성 심리 차이, 중학생은 청소년 보호법, 고등학생은 피임방법으로 나와 학생들의 성교육 요구도 역시 발달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초, 중, 고등학생별로 차별화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므로 향후에는 지역별 다양한 계층의 학생을 대상으로 성지식에 대한 수준과 원인을 파악하여 일반화를 시도하여야 할 것을 제언하며, 본 연구는 대상자의 성지식 수준을 초, 중, 고등학생별로 분석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후속연구로는 청소년들의 성 가치관이나 성태도 등 다양한 성과 관련된 요인을 규명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exual knowledge, its related factors, and the needs of sex educ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M e thod: The participants comprised 721 students in grades 5 through 12, from Seoul and the Kyeonggi-do area, in South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nd of August through the end of September 2014, using an anonymou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PSS Statistics 21.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Higher-grade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sexual knowledge than lower-grade students, but the overall level of sexual knowledge was low.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gender, grade, school record, and experiences of sex education from family and school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xual knowledge among adolescents. Coping skills related to sexual crisis situations was the most wanted content of sex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the needs of sex education among adolescents. Also, it is important to periodically perform a survey to identify the need of sex education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Red Cross College of Nursing > Department of Nursing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Gyu Young photo

Lee, Gyu Young
적십자간호대학 (간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