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평생학습도시 구축을 위한 평생학습 실태 및 요구분석Analysis of Needs and Recognition of Lifelong Learning to Build Lifelong

Authors
고혜리백미현이희수라순주
Issue Date
Jun-2015
Publisher
한국교육문제연구소
Keywords
평생학습; 요구분석; 학습도시; Weisbord’s 6Box; lifelong learning; needs analysis; recognition; Yangpyeong-gun
Citation
한국교육문제연구, v.33, no.2, pp 85 - 108
Pages
24
Journal Title
한국교육문제연구
Volume
33
Number
2
Start Page
85
End Page
108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0869
ISSN
1598-8317
Abstract
평생교육은 교육에서 소외된 집단들에게 제2의 기회를 주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평생학습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외된 지역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경기도 양평군의 평생학습 생태계를 진단하고, 평생학습도시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평군의 평생교육 기관에 근무하는 실무자들이 생각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양평군 주민들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 특성들은 무엇인가? 셋째,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평생교육 조직의 체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관련 기관 실무자들과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Weisbord의 6Box 모델을 사용하여 양평군의 평생교육 기관 및 하위 조직들을 진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평생교육기관 관계자들은 양평군의 물리적 자원 환경에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학습자 서비스 및 활동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평군 지역주민들의 평생교육 인지도와 참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은 평생교육을 하는 이유 중 학습지향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셋째, 6Box 모델을 통해 분석한 평생교육 조직 체계는 양평군의 지역적 특징인 농업과 자영업을 토대로 한 4050세대의 취·창업 및 직업교육 활성화와 평생교육법상의 평생교육 행정조직인 평생학습팀, 집행기구인 평생교육센터, 심의협의 기구인 평생교육협의회의 정착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겼다.
Lifelong education began with educational support for the marginalized. Minimal research of alienated areas from the national benefit of lifelong learning are found while abundant of research on lifelong learning can be found? This study aims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ecosystem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plan for building a lifelong learning city in Yangpyeong.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eisbord’s 6Box Model was adopted to diagnose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subsystem of Yangpyeong, and parties of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and residents responded to a surve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persons in lifelong education rated the most positive physical resources environment of Yangpyeong, then the services and activities for the learner was scored the next highest. Second,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the lifelong learning appeared to be very high. Third, residents responded with the highest rate in the learning-oriented motives. The results suggest the following to expand Yangpyeong’s lifelong learning opportunities: First, redefining of lifelong learning system tailored to the physical and cultural resources environment; Second, re-organizing train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residents of awareness; Third, providing liberal arts and discipline-centered education program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Hee Su photo

Lee, Hee Su
사범대학 (교육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