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다문화지구의 주거지속성을 위한 공간인식 조사 - 시흥시, 안산시를 대상으로 -

Authors
이석현
Issue Date
2015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Keywords
Multicultural Areas; Residential Area; Sustainability; Improvement of Environment; Siheung-city and Ansan-City; 다문화 지구; 도시공간; 지속성; 공간디자인 개선; 시흥시와 안산시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28, no.2, pp 121 - 135
Pages
15
Journal Title
디자인학연구
Volume
28
Number
2
Start Page
121
End Page
13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0953
DOI
10.15187/adr.2015.05.28.2.123
ISSN
1226-8046
2288-2987
Abstract
연구배경 최근 급격한 다문화화의 진행에도 불구하고 이주민의 사회적 차별은 심각하며 도시공간의 안정성과 쾌적성도 저하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다문화 주거지구를 대상으로 다문화 의식과 공간개선 방향을 조사하여 지속가능한 주거환경 구축 및 공간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본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존의 다문화 지역의 도시공간 또는 디자인 개선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대표적 다문화 지역인 시흥시 정왕동과 안산시 원곡동 주민을 대상으로 다문화 주거의식과 영향, 공간디자인 개선방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다문화가 주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정책은 국내 다문화 진행정도에 비해 현저히 부족하며, 특히 주거환경 전반에 걸친 교류와 차별을 줄이기 위한 공공공간의 조성이 요구되었다. 또한 다문화에 따른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주민의식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의 중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기존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다문화 교류를 촉진하기 위한 홍보활동과 함께 일상 생활공간에서 주거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며 주거의 안전성을 위한 지원대책의 수립도 요구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인적인 교류와 정보 공유의 기회가 없어 다문화 공간에 대한 인식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 주거환경의 지속성과 이해확대를 위해서는 일상 생활공간의 공공의 교류장소 확대 및 안전성 제고를 위한 공간개선이 지속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이러한 다양성에 기반을 둔 주거환경의 개선과 공공공간의 디자인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s multicultural families have recently rapidly increased in the country, there have arisen many social issues such as the fact that over 41% of the immigrants from foreign countries have experienced social discrimination. Particularly, discrimination in the use of, and interchange in, the urban space has been seriou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basic principles to build a sustainabl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mprove space design through conducting an attitude survey on residents of Siheung-si Jeongwang-dong and Ansan-si Wongok-dong.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 of a multicultural residential area are organized through investigating existing studies and literature. Second, multicultural residential area improvement policies and directions are identified. Third, a questionnaire survey is conducted on a residents of Siheung-si Jeongwang-dong and Ansan-si Wongok-dong, which are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residential districts of the country, about their consciousness of a multicultural residence, characteristics of interchange places, effects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pace design improvement directions. Fourth, an improve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are derived by organizing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re efforts to build public space needed to be made, and the building of public space for a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nd an expansion of interchange was requir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with more interchange and use of multicultural public space, a higher a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nvironment developed, presenting a necessity of the improvement of interchange places within the public space. Conclusion For the expansion of a dura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 expansion of public interchange places as daily living spaces and space improvements to raise safety are continuously neede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serve as basic data for the spac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district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eok Hyun photo

Lee, Seok Hyun
예술대학 (실내환경디자인)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