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스트룹 간섭에 의한 시각작업기억의 왜곡 현상Distortion of the Visual Working Memory Induced by Stroop Interference

Authors
김대규현주석
Issue Date
Mar-2015
Publisher
한국인지과학회
Keywords
Stroop words; short-term memory; color-whee recall task; memory distortion; visual working memory; 스트룹 단어; 단기 회상; 색상환; 기억왜곡; 시각작업기억
Citation
인지과학, v.26, no.1, pp 27 - 51
Pages
25
Journal Title
인지과학
Volume
26
Number
1
Start Page
27
End Page
5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1132
DOI
10.19066/cogsci.2015.26.1.002
ISSN
1226-4067
Abstract
장기기억 분야와 달리 시각작업기억에 대한 기억왜곡 연구사례는 흔치 않다.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 표상이 하향적 간섭에 의해 왜곡될 가능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기억표상의 질적 특성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을 위해서는 기억용량과 선명도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환 과제를 통해 스트룹 단어의 색상에 대한 단기 회상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시행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단어의 명칭에 의한 시각작업기억 표상의 왜곡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참가자들은 과제에서 500ms 동안 제시되는 1, 2, 3 혹은 6개의 스트룹 단어 항목의 색상을 기억하였다. 1초의 기억지연 시간 후, 기억이 요구된 스트룹 단어 중 단서가 지정하는 특정 단어의 색상을 회상해 색상환에서 선택 보고하였다. 색상환에서 회상이 요구된 자극의 실제 색상으로부터 ±45° 이내의 색상을 선택했을 경우 정반응으로 간주 되었으며, 그 밖의 경우는 오반응으로 간주되었다. 오반응 시행에 대해 색상 선택의 분포 패턴을 분석한 결과, 보고 대상의 명칭 색상 범주에 기초한 회상 오류가 시행 전반에서 사용된 명칭 기반 평균 회상 오류를 상회하였다. 또한 항목개수 증가로 인한 기억부담의 증가는 이와 같은 스트룹 간섭에 의한 기억왜곡의 발생 확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스트룹 자극에 대한 시각작업기억 표상에 대하여 자극의 명칭색상에 의한 체계적 왜곡 가능성이 관찰되었다. 이는 비교적 짧은 기간 활용되는 시각작업기억 수준의 표상 역시 장기기억과 마찬가지로 간섭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effect of a top-down influence on recalling the colors of Stroop words. Participants remembered the colors of 1, 2, 3 or 6 Stroop words. After 1 second of a memory delay, they were asked to recall the color of a cued Stroop word by selecting out its corresponding color on a color-wheel stimulus. The correct recall was defined when the participants chose a color that was within ±45° from the exact location of Stroop word's color on the color-wheel. Otherwise, the recall was defined as incorrect. The analyses of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error trials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e color-name of the target Stroop word was higher than the probability of other five color-names on the color-wheel.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increasing the number of Stroop words to manipulate memory load did not affect the probability of the Stroop interfer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top-down interference by Stroop manipulation may induce systematic distortion of the stored representation in visual working memor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Psycholog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yun, Joo Seok photo

Hyun, Joo Seok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