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송욱과 김우창의 시론에 나타난 전통에 대한 태도—만해 한용운을 바라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Authors
황선희이경수
Issue Date
May-2014
Publisher
우리어문학회
Keywords
Song; Wook; Kim; Woo-chang; tradition; criticism of poems; Han; Yong-woon; Buddhism; Zen ideology; historical awareness; dialectic integration; 송욱(宋稶); 김우창(金禹昌); 전통; 시론; 한용운; 불교; 선(禪)사상; 역사의식; 변증법적 통합
Citation
우리어문연구, no.49, pp 575 - 604
Pages
30
Journal Title
우리어문연구
Number
49
Start Page
575
End Page
60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2755
ISSN
1226-7341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송욱과 김우창의 시론에 나타난 전통에 대한 태도를 살펴본 뒤, 두 시론가가 만해 한용운을 최고의 현대 시인으로 평가하게 된 근거를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송욱과 김우창이 인식했던 전통의 상을 불교의 ‘선(禪)’ 사상을 중심으로 그려보고, 두 시론가가 한용운을 고평하는 맥락을 밝혀 보고자 했다. 이 논문에서 주목한 두 시론가의 관점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송욱은 불교의 선사상과 한용운의 창작시, 사상을 함께 놓고 긍정적으로 보았다. 한용운의 시와 행보를 불교의 선사상과 떼어 놓고 볼 수 없다는 것이 송욱의 생각이다. 반면 김우창은 선적인 세계관과 개인적인 문화에 침잠하는 한국 시인들을 경계하면서 선의 세계로 도피하지 않고 전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데 근접한 시인이 한용운이라고 보았다. 송욱이 한용운을 높이 평가한 근거가 선사상에 대한 한용운의 이해⋅인식에 있었다면, 반대로 김우창은 만해가 선사상으로부터 비판적인 거리를 유지했다는 점을 근거로 그를 최고의 시인으로 평가한 것이다. 이렇듯 두 시론가가 불교 선사상의 전통을 바라보는 관점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제는 송욱과 김우창이 한용운을 높이 평가했다는 결과만을 놓고 비교하기보다는 그러한 평가가 왜 나오게 되었는지 적극적인 해명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논문이 지니는 문제의식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두 시론가가 이해한 선사상, 나아가 전통이란 무엇이었는지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n attitude toward tradition in criticisms of poems by Song, Wook and Kim, Woo-chang and compare them on the grounds for their evaluation Manhae Han, Yong-woon as the greatest modern poet.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depicted the images of tradition perceived by them with a focus on “Zen” ideology of Buddhism and examined the context of their esteemed criticisms of Manha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following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them: Song placed the Zen ideology of Buddhism alongside Manhae's ideology of poetry creation and had a positive view of them. He believed that one would not be able to consider the poetry and steps of Manhae separate from the Zen ideology of Buddhism. Meanwhile, Kim argued that Manhae was close to achieving the overall structure without escaping into the Zen world while being cautious against Korean poets that withdrew into the Zen view of the world and personal culture. While Song had a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Manhae for Zen ideology for his esteemed criticism of Manhae, Kim cited him as the greatest poet for his keeping a critical distance from Zen ideology. Thus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the perspective of tradition of Zen ideology in Buddhism between the two critics.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the study is a need to actively explain the grounds behind the esteemed criticisms of Manhae by the two critics rather than mere comparison on the result between them. Such efforts will help to explain Zen ideology and further tradition understood by the two critics of poetr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ETC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Kyung Soo photo

Lee, Kyung Soo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