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1950~7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과 민족주의론의 궤적

Authors
장규식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사연구회
Keywords
사상계; 자유주의 지식인; 냉전질서; 장준하; 함석헌; 자유세계론; 전체주의; 반공주의; 4·19민주항쟁; 근대화 담론; 민족적 민주주의; 대일 굴욕외교 반대투쟁; 7·4남북공동성명; 통일 민족주의; the Sasanggye; Liberal intellectuals; the Cold War; the National division system; Jang Junha; Ham Seokheon; the Free World; Totalitarianism; Anti-communism; the April Revolution; Discourse on modernization; the National democracy; the Struggle against submissive diplomacy toward Japan; the July 4 North-South Joint Statement; Unified nationalism
Citation
한국사연구, no.167, pp 289 - 339
Pages
51
Journal Title
한국사연구
Number
167
Start Page
289
End Page
33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2792
ISSN
1226-296X
Abstract
‘사상계’ 그룹은 해방후 한국의 자유주의 지성을 대표하는 지식인 집단으로, 이북 출신, 숭실ㆍ오산ㆍ한신 학맥, 학병 세대라는 공통분모를 바탕으로 同人的 결사를 유지하였다. 분단과 전쟁을 거치며 사상계 지식인들은 자유세계 대 전체주의 국가의 대결구도로 냉전 상황과 대면하였다. 그래서 그들의 공산주의 비판에는 공산 독재 내지 공산 전체주의라는 수식어가 붙었고, 종속적 위치에 있기는 했지만 파시즘 독재에 대한 비판이 뒤따랐다. 그러한 면에서 그들의 냉전인식은 극우 반공주의와 구별되는 반공 자유주의로 대변되었다. 그런데 사상계 지식인들의 자유세계론은 그들의 후진성 콤플렉스와도 관련하여, 서구적 보편에 대한 특수의 자리를 좀처럼 허락하지 않았다. 그래서 독자노선으로 등장한 아시아적 제3세력론을 비판하였다. 그것은 민족주의 담론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자유세계라는 보편에 민족이라는 특수가 들어설 자리는 거의 없었다. 이 시기 그들의 민족주의는 자유세계론에 밀려나고, 공산 치하에 있는 이북 동포를 동류의식의 대상에서 배제시킨 반쪽자리 불구의 민족주의였다. 1950년대 말 분단 상황의 특수성을 앞세운 이승만 정권의 반공 독재가 전면화하면서, 사상계 지식인들의 반공 자유주의 내부에 균열이 생겼다. 그들은 민주주의의 확보와 국민생활의 향상을 통해 공산주의가 발붙일 수 없도록 하자는 승공의 논리로 반공 독재와의 차별화를 시도하면서, 자유 민권 투쟁의 주체로 지식인을 호명하였다. 4ㆍ19 이후 민간 차원의 통일논의가 분출하는 가운데, 자유세계보다 민족을 앞세우는 민족주의의 물결이 밀려왔다. 그러나 사상계 지식인들은 반공 평화통일론을 고수하며, 먼 장래의 남북총선거에 대비한 남한 체제의 경쟁력 강화에 매진하였다. 그 요체는 민주주의의 물적 토대 구축을 위한 경제 근대화와 복지를 통한 사회통합에 있었다. 그 연장선상에서 사상계 지식인들은 기존의 자유세계론을 우회해 경제자립과 국익 우선의 경제적 민족주의 담론을 적극 개진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민주항쟁 승리의 다음 단계 과제로 경제건설과 국민기강의 확립을 설정하고, 경제 일변도의 행보를 이어갔다. 장준하는 그것을 빈곤 추방과 민주 복지사회 건설을 무기로 하는 대공 ‘경제전’이라고 불렀다. 5ㆍ16 군사정변으로 집권한 박정희 군부는 민족 주체성을 앞세운 대대적인 관주도 민족주의 캠페인을 통해 반공과 근대화를 두 축으로 하는 개발독재의 권력기반을 다졌다. 사상계 지식인들은 앞서와 마찬가지로 보편 가치를 강조하며 쿠테타 세력과의 민족주의 논쟁에 임했다. 이후 사상계 지식인들은 박정희 정권의 대일 저자세 외교를 규탄하며, 그들 나름의 저항 민족주의를 정초해 갔다. 그리하여 민족주의를 놓고 관주도 캠페인과 민간의 대항 담론이 팽팽하게 대립하는 구도가 만들어졌다. 3ㆍ1운동의 재현과도 같았던 대일 굴욕외교 반대투쟁을 거치며 사상계 지식인들의 민족주의 담론은 경제적 영역에서 정치적 영역으로, 저항적 차원으로 나아가며 면모를 일신하였다. 그들은 정권의 전매특허였던 ‘민족 주체성’을 주권자 국민의 이름으로 전유하고, 미국 중심의 자유세계론에서 한 발짝 물러나 국가 주권과 국익 우선을 앞세우면서, 예속적 근대화 대 자주적 근대화의 대결구도로 근대화 담론을 이끌어갔다. 그리고 시민불복종의 저항 민족주의를 전면에 내세우며 이후 재야세력의 모체를 형성하였다. 1960년대 말부터 남북한의 수령 유일체제와 장기집권의 기반을 구축, 닉슨독트린의 발표와 동아시아에서의 긴장완화, 재벌중심의 개발독재 과정에서 산업화의 뒤안길로 밀려난 노동자와 도시빈민의 항거 등이 겹쳐지며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정세는 요동을 쳤다. 그러한 상황은 비판적 지식인들로 하여금 민중과 손잡게 했고, 남한의 빈부차와 북한의 부자유 문제를 동시에 넘어설 대안적 사회체제와 통일론에 대해 고민하게 했다. 함석헌이 1971년에 발표한 「민족통일의 길」은 그 신호탄이었다. 이 글을 통해 함석헌은 민중 주체의 통일론, 분단체제의 모순에 대한 통찰, 탈냉전의 지평에서 설정한 중립지대 통일론 등 통일 민족주의론의 초석을 놓았다. 그러한 분단인식의 전환은 그를 멘토로 삼는 장준하와 문익환 등 ‘사상계’ 그룹을 모체로 재편된 ‘씨ᄋᆞᆯ의 소리’ 그룹으로 이어졌다. 1972년에 발표된 7ㆍ4남북공동성명은 사상계 지식인 내부를 저항 민족주의의 연장선상에서 통일 민족주의로 나아가는 무리와 냉전의 지속을 주장하며 반공 자유주의를 고수하는 무리로 나누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장준하와 문익환은 남북공동성명을 민족의 진로를 제시한 이정표로 받아들이고, 탈냉전의 지평에서 분단체제의 극복을 추구하였다. 그들은 민족의 실체로 남북한의 민중을 불러내면서 민주 복지국가로서 통일 조국의 미래를 그렸다. 그에 반해 양호민과 신상초는 냉전적 사고를 고수하며 남북공동성명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들은 남북 두 정치단위의 현상유지와 평화공존을 기조로 한 박정희 대통령의 6ㆍ23선언에 동조하며, 반공 평화통일론의 논리를 되풀이하였다. 이처럼 사상계 지식인의 분단인식의 분화는 결국 7ㆍ4남북공동성명 노선과 6ㆍ23선언 노선의 대결구도로 귀착되었다.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 > Department of History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ang, Kyu Sik photo

Chang, Kyu Sik
인문대학 (역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