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 개발 연구

Authors
김영주
Issue Date
2014
Publisher
한국디자인지식학회
Keywords
Quality of Life; Community Indicator; Evaluation; Urban Residents; Livability
Citation
디자인지식저널, no.32, pp 353 - 363
Pages
11
Journal Title
디자인지식저널
Number
32
Start Page
353
End Page
3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2800
DOI
10.17246/jkdk.2014..32.032
ISSN
2092-7045
Abstract
오늘날 도시는 1-2인 가구의 급증과 더불어 개인화와 가족해체현상, 계층간 불평등, 공동체 해체, 안전사고 급증 등 각종 사회 문제가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정되고 만족스러운 커뮤니티의 형성이 중요한 요건으로 강조되고 있다. 삶의 질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받아온 연구주제이다. 그러나 삶의 질은 개념상 주관적 속성이 강하며, 이를 측정 평가하기 위한 기존 지표들 대부분이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체계가 부족한 상태에서 개발됨에 따라 다른 연구 분야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보다 실용적이며 포괄적인 시각에서 객관적 근거를 토대로 다양한 커뮤니티 특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 인디케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범주의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주민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선행연구문헌 분석을 통해 커뮤니티 범주별로 주민의 삶의 질 평가를 위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구성 분야와 차원, 세부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146개 예비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내용 및 구성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단계로 이메일을 통한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명의 전문가들로부터 얻은 의견조사 결과를 토대로 도시 거주자의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커뮤니티 인디케이터의 중요도와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3단계에서는 타당성 검토를 거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거주성 관점에서 재배치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이해하기 어렵거나 의미가 중복되는 지표들은 삭제, 통합 또는 명칭을 변경하여 최종적으로 총 67개의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커뮤니티 인디케이터를 거주성이라는 관점에서 재배치시킨 결과 편리성, 쾌적성, 안전성, 보건성, 경제성의 5개 하위 영역 순으로 정리되었다.
As a research issue, many researchers in various scientific filed have dealt with quality of life for a long time. Today’s urban life is suffering from diverse social problems such as the increase of one or two household, imbalance among income brackets, breakup of community, and so on. It is emphasized that making safe and satisfactory community is the key answer for current urba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comprehensive community indicato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life among urban residents. To perform this, literature review was done to draw preliminary community indicators. Questionnaire survey for 32 professionals was executed through e-mail to testify content validity and applicability for 146 community indicators selected from literature review. In this process, some indicators that showed low importance score were deleted, integrated, changed the title, and rearranged in perspective of livability. Finally, total 67 community indicators were developed in this research. In the view of livability, 67 community indicators could be rearranged into 5 categories composed of convenience, amenity, safety, healthiness, and economic efficienc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Arts > Department of Housing and Interior Desig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Joo photo

Kim, Young Joo
예술대학 (주거환경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