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디지털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 디지털 활용 능력과 정보적 지지를 중심으로

Authors
이숙정육은희
Issue Date
Oct-2014
Publisher
한국언론학회
Keywords
digital capability divide; digital outcome divide; information literacy; content creation; social networking; informational support; 디지털 활용 격차; 디지털 결과 격차; 정보 활용 능력; 콘텐츠 생산; 사회적 연계; 정보적지지
Citation
한국언론학보, v.58, no.5, pp 206 - 232
Pages
27
Journal Title
한국언론학보
Volume
58
Number
5
Start Page
206
End Page
2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058
ISSN
1229-7526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격차를 활용 격차와 결과 격차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디지털 활용 격차를 살펴보기 위해, 정보 활용 능력, 콘텐츠 생산 능력, 사회적 연계 능력을 중심으로 인구사회학적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결과 격차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디지털 활용 능력이 정보적 지지 획득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에 인구사회학적 집단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국 표본 14세부터 69세까지 2,834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학력별, 소득 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하였다. 변량분석 결과, 디지털 활용 능력의 세부 차원별로,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수준에 따른 격차가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50~60대를 중심으로 세대 간 격차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디지털 결과 격차에 대한 분석 결과는, 정보 활용 능력과 사회적 연계 활동이 정보적지지 획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이러한 효과는 연령, 학력, 소득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학력 수준이 낮은 집단의 온라인 정보 활용 능력이 정보적지지 획득에 도움이 되고,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의 콘텐츠 생산 활동이 정보적지지 획득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디지털 활용 능력이 정보적 자원 접근 차원에서의 사회적 격차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gital outcome divide (the third-level divide) as well as the digital capability divide (the second-level divide), beyond the access divide (the first-level divide). The digital capability included information literacy, content creation, and social networking. In order to examine the digital outcome divide, we analyzed the effect of digital capability on informational support and gaps in its effects by gender, age, income levels and education levels. We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s of Korean people from 14 to 69 years old (N=2,834).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digital capability divide exists by gender, age, income levels and education levels. The generation gap was prominent. Second, information literacy and social networking activ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ceiving informational supports. Particularly, the positiv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on informational support was greater for the lowest educational group than the mid-level group. The positive effect of content creation skills on informational support was greater for the lowest income group than ot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igital capability divide exists, but if those who lack of digital capability could have chance to get digital skills, they could get more benefits from digital literacy.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School of Media & Communication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Lee, Sook Jung photo

Lee, Sook Jung
사회과학대학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