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생활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및 이동수단 차이 분석An Analysis on the Gender Differences of Life Time Use and Travel Mode of Seoul's Dual-Worker Households Using Time-Use Survey Data

Authors
권기현전명진
Issue Date
Sep-2014
Publisher
한국지역학회
Keywords
생활시간조사 자료; 맞벌이 가구; 생활시간 특성; 통행수단 선택; 다항로짓 모형; Life Time Use Data; Dual-worker Households; Characteristics of Life Time Use; Travel Mode Choice; Multinomial Logit Model
Citation
지역연구, v.30, no.3, pp 109 - 129
Pages
21
Journal Title
지역연구
Volume
30
Number
3
Start Page
109
End Page
129
URI
https://scholarworks.bwise.kr/cau/handle/2019.sw.cau/13178
ISSN
1225-0740
Abstract
본 연구는 2009년 통계청 생활시간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도권에 거주하는 맞벌이 가구의 목적별 생활시간 특성 및 통행 수단 선택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가구형태(외벌이 또는 맞벌이)와 성별에 따른 개인의 생활시간 사용을 기술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통행수단 선택 모형의 경우 다항 로짓모형(자가용, 대중교통, 도보)을 구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맞벌이 가구의 남편과 아내의 가정 관련 이용시간을 비교한 결과 주중에는 아내가 남편보다 6.7배, 주말에는 3.5배 더 가사노동에 대한 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사노동 부담이 지나치게 여성에게 부과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맞벌이 가구의 경우 통근시 남편은 자가용 의존도가 높은 반면 아내는 도보와 대중교통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사 관련 통행의 경우 맞벌이 가구 아내의 도보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가사 목적을 위한 통행시 맞벌이 남녀 모두 자가용의 경우 30분 이내, 도보의 경우 20분 내외로 통근 통행보다 훨씬 짧은 통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항 로짓 분석결과를 보면 맞벌이 가구 여성의 경우 통근시 도보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life time use and travel patterns of dual-worker households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using 2009 time-use survey data. In doing so, we analyzed a descriptive statistics for personal time use by household type (single-worker or dual-worker) and gender. We also built multinomial logit models for three mode choices (Auto, transit, and walk). Major findings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ife in a dual-worker household has 6.7 times more houseworks than husband's on weekdays, and 3.5 times more on weekends, implying that high family-related work burden is placed on the wife's shoulder. Second, husbands in dual-worker households are likely to use automobile in the commuting trips, while wives rely on walk and public transit. In addition, wives have high dependence on walk in family-related trips. Third, we found time thresholds for the family-related trips, which are 30 minutes for automobile and 20 minutes for walk. Finally, multinomial logit model results support the argument presenting wives' high dependence on walk in the commuting trips.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 1.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